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5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태평양 물 부족국에 조선의 물 관리 지혜 전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서울대 공대는 남태평양 솔로몬제도에서 '빗물 식수화 시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남태평양 국가의 식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퍼런스도 함께 열렸다. 서울대 공대 ... 이어가기로 했다. 솔로몬제도의 수도 호니아라에 설치된 빗물 식수화 시설. 한무영
교수
제 ... ...
AI 대학원 어디 갈까…"KAIST AI 과목수,성균관대
교수
최다…고려대 산학협력 강점"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강화할 분야를 파악해 해당 분야 전문 초빙
교수
를 추가로 모집할 계획도 있다”며 “전임
교수
가 연구와 교육에만 전념하게 해 연구와 교육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020년 봄학기 개원을 목표로 2기 AI대학원 지원사업에 참여할 대학을 모집 중이다. 1기에 참여하지 못했던 ... ...
20~30대 금연 후 살쪄도 심혈관질환 위험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20~30대 연령층을 대상으로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말했다. 박상민 가정의학과
교수
는 "훗날 비만 자체가 다른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금연 후 체중이 많이 증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그런데 2015년 ‘네이처’에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스웨덴 웁살라대 티스 에타마
교수
팀이 수심 3283미터에 이르는 북극해의 해저 토양을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한 결과 기존 고세균과 상당히 다르고 오히려 진핵생물과 더 가까운 새로운 고세균의 존재를 확인했다는 것이다. 메타게놈 ... ...
KAIST AI 대학원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이상을 모집할 계획이다. KAIST는 10명으로 구성된 전임
교수
진도 꾸렸다. KAIST는 “10명의
교수
진은 최근 6년 동안 AI 분야 주요 학회에서 101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최근 AI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KAIST는 경기도 성남시와 협력해 경기 성남, 판교를 아시아 최고의 AI 밸리로 ... ...
아무리 약 발라도 아물지 않는 염증, 빨리 낫게 할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활성을 억제한 뒤 피부의 상처 재생 속도를 비교한 결과 상처 회복 속도가 빨랐다. 박
교수
는 “향후 자가면역질환자들의 상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 물질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면역 분야 국제학술지 ‘이뮤니티’ 20일자에 발표됐다 ... ...
당뇨병 합병증, 암 발생 위험 늘리는 세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인해 DNA가 제대로 수리되지 않아 여러 합병증이 생기는 것으로 분석했다. 테르미니
교수
는 "아직까지 당뇨병을 완치하는 치료제는 없지만, 고혈당과 비만이 합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큰 문제인 만큼 '혈당 조절'이 현재로서 가장 훌륭한 치료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쥐 실험을 통해 밝혀낸 ... ...
뇌파 보고 수면단계 맞히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단위를 30초로 하고 뇌파 전체를 분석할 때 AI 성능이 가장 좋았다. 연구를 이끈 황희
교수
는 "수 년 동안 수련과 전문성의 필요한 뇌파 분석에 AI를 적용하면 인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AI가 고도화됨에 따라 더 정확하고 상세하게 뇌파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임무 끝나면 '사르르'…녹는 군용 소재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활용해 건축 자재를 임시로 붙였다가 빛을 쪼이면 뗄 수 있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콜
교수
는 “제임스 본드 같은 물질이 이미 군사 장치에 통합되고 있다”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로 쓰면 데이터 수집을 마친 후 센서가 증발하도록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기자의 눈]전문연구요원제도 존치? 오죽하면 경제논리도 안먹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고민하지 않고 등한시한 면이 크다. 일부 언론을 통해
교수
논문 대신 써주는 박사 전문연구요원제도가 폭로되고 제도를 악용해 일부 기업들에서 비리 문제가 계속해서 터지는데도 자정 기능을 발휘하지 않은 채 즉자적 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좋은 취지의 제도를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