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뉴스
"
도움
"(으)로 총 8,0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질 유발 원인 세포막 단백질 새 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구조와 기능을 밝히는데 성공했다. 세포막 단백질과 연관된 질병 및 생리현상 조절에
도움
이 될 전망이다. 한국뇌연구원(KBRI)은 임현호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간질과 근육이상을 일으키는 세포막 단백질의 새로운 3차원 구조와 작동원리를 알아냈다고 21일 밝혔다. ... ...
임플란트 시신경에 심어 빛 보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디에고 게지 스위스 로잔공대 생명공학부 연구팀은 시력을 어느정도 회복할 수 있는 시신경 임플란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로잔공대 제공 스위스 연구팀이 시신경을 ... 회복할 수 는 없다”면서도 “제한된 시각 신호로도 전맹 시각장애인의 일상 생활에
도움
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위 점막 재생 돕는 위샘 줄기세포 역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특성을 규명했다”며 “위장 질환과 위암의 발병 원인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
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줄기세포 분야 국제학술지 ‘셀 스템셀(Cell Stem Cell)’ 15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정아의 미래병원]'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달라질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된다. 죽음을 맞이하는 환자뿐 아니라, 그 환자를 떠나보내는 가족과 의료진에게도
도움
이 되려면 의사와 간호사, 생명윤리학자 뿐 아니라 생명과학자, 뇌과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 교수 연구팀의 성과는 X선 부품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한국이 진입하는 데 큰
도움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는 “미국 일본 등과 기술 격차가 커 한국은 X선 튜브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기 어려웠다”며 “이 때문에 소재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꾼 차세대 X선 튜브를 고민했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 바지 입고 힘 덜 들이고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동작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이다.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진은 무거운 물건을 드는 데
도움
을 주는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들은 특정 목적에 적합한 웨어러블 로봇으로 걷기와 달리기를 동시에 보조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은 아직 없다. 코너 월시 미국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에게만 초점을 맞추면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2019.08.17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
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 ...
'로봇 슈트' 입고 가뿐하게 걷고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있는 로봇 슈트가 개발됐다. 하버드대 제공 인간의 고된 일을 보조하거나 장애인 재활에
도움
을 주는 이른바 ‘입는 로봇(웨어러블 로봇)’ 연구 성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웨어러블 로봇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은 지금까지 없었다. 예컨대 ... ...
로봇 팔·다리 개발에 집중하는 세계 IT 기업들…산업 판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구글이 개발중인 '토싱봇(던지는 로봇)' 팔만 있지만 던지는 과정에 관여하는 물리학 법칙과 주변 환경의 영향 등을 인공지능(AI)을 통해 ... “한국에서는 ‘알파고’ 열풍으로 머신러닝에 대한 열풍이 강한데, 물리적 세계에
도움
이 되기 위해서는 로봇공학과의 결합이 필수”라고 말했다 ... ...
이식된 줄기세포 생명력 높이는 단백질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산소 공급 등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 허혈유도인자가 세포핵으로 이동하도록
도움
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자체 개발한 지질대사체로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이 실제 허혈손상을 유도한 실험쥐에서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이 결손된 줄기세포를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