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4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11.14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징을 잘 알아야 한다. 전기 변환 효율은 미국
국립
재생가능에너지연구소(NREL)가 집계한 2018년 7월 기준 연구용으로 달성한 최고 효율을 기준으로 했다. ‘효율 높은’ 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27.6%/단결정, 22.3%/다결정) (왼쪽부터) PK Green, SMS Metering 제조 ... ...
[과학게시판]
국립
과천과학관 ‘한국과학문명관’ 개관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등 신약 개발 분야에서 공동 연구와 학술 활동을 추진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립
전파연구원은 이달 5일부터 8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제34차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표준회의(IEC) 공동기술위원회(JTC) 1 국제표준 총회’에서 오는 2021년 열리는 ‘제39차 ISO/IEC JTC 1 ... ...
하늘에서 떨어진 표범
팝뉴스
l
2018.11.14
제공 위 이미지는 탄자니아 루아하
국립
공원에서 최근 촬영된 영상을 갈무리한 것이다. 임팔라 한 마리가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었다. 멀리 어미로 보이는 임팔라가 있다. 또 주변에는 사나운 원숭이 종인 비가 수십 마리가 모여 있다. 임팔라는 전혀 경계하지 않고 있는데 난데없이 표범이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는 美 ‘서밋’…韓 슈퍼컴 5호기 ‘누리온’은 13위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93.0PF로 3위를 기록했다. 2013년 6월 이후 지난해까지 1위 자리를 지켰던 중국 광저우
국립
슈퍼컴퓨팅센터의 ‘텐허2A’는 61.4PF로 4위를 기록했다. 스위스 국가슈퍼컴퓨팅센터(CSCS)의 ‘피즈 데인트’(21.2PF)와 독일 라이프니츠 슈퍼컴퓨팅센터(LRZ)의 ‘SuperMUC-NG’(19.5PF)는 각각 5위와 8위를 차지했다. ... ...
‘HD촉감’으로 가상현실 더 실감나게!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만약 요리를 하는 과정을 가상현실(VR)로 재현한다면, 가장 필요한 것은? -사진 제공 픽사베이 가까운 미래의 월요일 아침, 외출을 준비하며 아침식사를 차린다. 요리를 못하지만 걱 ... 과정은 결코 쉽지 않다! 고해상도 촉감 재현 시스템 'HD촉감'이 필요하다. - 사진 제공 미국
국립
보건원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인공세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성세포(BaaSyc)’ 프로젝트를 출범했다. 올해 9월 미국
국립
과학재단은 1000만 달러 규모의 합성세포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유럽위원회(EC) 역시 합성세포를 위한 새로운 연구 과제를 준비 중이다. 다만 페트라 쉴레 독일 막스플랑크생화학연구소 연구원은 ... ...
[여기에 과학] 콩 분유 먹고 자란 여성이 생리통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만든 이유식을 먹고 자란 여성이 생리통을 심하게 앓을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미
국립
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 연구진은 콩 이유식을 먹고 자란 여성이 생리통을 줄이는 호르몬 완화제를 복용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40%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인간 생식’에 9일(현지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취약하고 수확 뒤 손실률이 최대 15~20%에 이를 정도로 많다.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
식량과학원 연구관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한국의 기술을 투입하면 북한의 식량 생산성을 30% 끌어올리는 게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며 기술 중심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허 ... ...
사람 腸 모사한 미니칩으로 장염 원인 밝혀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없이 자체 개발한 장기칩을 사용해 장염의 발생 원인을 밝혀 10월 말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신우정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의공학과 연구원과 김현중 교수팀은 미세한 필터를 이용해 장 모사 장기칩을 두 층으로 제작했다. 먼저 위층에는 죽지 않고 계속 증식하는 세포 ... ...
현생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오래된 동굴벽화의 기록이 깨졌다. 호주 그리피스대와 인도네시아 반둥공대, 인도네시아
국립
고고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보르네오섬 동쪽 칼리만탄 지역의 동굴에서 발견된 벽화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를 ‘네이처’ 7일자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손바닥을 벽에 대고 입으로 염료를 뿜어 손의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