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디스커버리다. 7년 뒤 이제 디스커버리 차례가 됐다. 디스커버리가 노장의 저력을 보여
줄
날이 다가오고 있다.디스커버리, 누가 타나?- 선장 : 아일린 콜린스(49). 미 공군 대령. 1999년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선장에 임명돼 컬럼비아호 키를 잡았다. 이번이 그녀의 4번째 우주 비행.- 조종사 : 제임스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높고 신속한 작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바닷가재 로봇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가재 로봇은 로봇 물고기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고 작동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바닥을 탐사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이다.넙치처럼 몸이 납작한 로봇 물고기도 있다. 이런 모양의 로봇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성향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 새로운 것에는 우리에게 더 많은 보상을
줄
가능성과 위험을
줄
가능성이 모두 내재돼 있다. 따라서 우리 뇌에 두 가지 정서적 반응, 즉 호기심과 두려움을 함께 유발하게 된다. 결국 이 두 가지 성향의 비율에 따라 사람의 성격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편도체는 단순히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그 중에서 배우고 이겨내야 할 공포와 과장되거나 불필요한 공포를 현명하게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공포도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공포의 추억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4. 공포는 바로 이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없다. 그러나 한국은 해병대만 해도 2만6000명 이상이므로 모든 병사에게 비싼 화기를
줄
수 없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첨단 장비는 일종의 분대 지원화기로 배치될 것이다.해병대가 국가전략기동군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형 상륙수송함을 중심으로 기동 수송 능력을 갖춰야 한다. 특히 기동헬기를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유망한 분야로 생명과학을 추천했으며, 학교 이름보다는 학과의 유망성에 초점을 맞춰
줄
것을 당부했다.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로는 아인슈타인, 현존 한국과학자로는 황우석 서울대 교수를 들어 황우석 신드롬이 과학기술계에도 몰아치고 있음을 실감하게 했다. 청소년에게 추천하는 과학책으로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객관적인 것으로 판명됐지만 보고서는 타자기의 속도와 자판은 상관관계가 없음을 말해
줄
뿐이었다.드보락 자판이 실패한 결정적인 이유는 숄즈 자판에 익숙해진 사람들의 습관이었다. 이미 수십 년 동안 타자수, 작가, 일반 이용자들은 숄즈 자판에 익숙해졌다. 드보락 자판을 사용하려면 이를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공포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처음 보는 음식을 선뜻 먹기 꺼려하고, 컴퓨터를 다룰
줄
모르는 사람이 컴퓨터를 두려워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귀신의 실체가 밝혀지면 누가 공포를 느낄 것인가. 실체를 알 수 없을 때 두려움이 생긴다.† 차를 몰던 남자. 피할 겨를도 없이 갑자기 나타난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두 사진은 마치 한 사람의 얼굴을 보는 듯해 누리꾼들로부터 ‘진짜 소지섭인
줄
알았다’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조 교수는 두 경우 모두 닮은 요인으로 눈을 꼽았다. 에릭과 민영익의 경우에는 눈과 눈 사이가 넓다는 점이 비슷하다. 소지섭과 이황은 눈동자에서부터 눈꼬리까지 거리가 길다는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세제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심해에서 보낸 5시간 동안 김 박사는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한다. 잠수정이 좁아 탐사 내내 요가하는 자세로 있어야 했다. 다리에 쥐가 두번씩이나 났지만 눈앞에 펼쳐지는 심해의 신비가 고통을 없애는 진통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는 잠수하는 10시간 동안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