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사회에서 과학기술이 사회적으로 어떤
위치
에 있었는가에 대해 느껴지는 감정이 그리 흡족하지만은 않다. 왠지 이공계를 기피하는 작금의 사회분위기가 깊은 역사적 자취와 함께 머리 속에 맴도는 까닭이다.고대 중국 수학의 진가를 보여준 유휘(劉徽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중심쪽에 파묻힌 뱀자리의 독수리성운이 유명하다.듬성듬성 모여있는 별무리 중심에
위치
한 독수리성운은 비교적 큰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에서 그 모습이 잘 드러난다. 붉은 배경으로 날개를 뒤로 한 채 어디론가 날아가는 검은 독수리가 보인다. 앞으로 뻗은 양쪽 발의 모양도 눈에 띈다. 발톱을 ... ...
절개수술 없이 신장결석 제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것이다. 즉 타원의 한 초점에서 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다른 초점에는 신장 결석을
위치
시켜 신장결석을 깨뜨린다. 바로 타원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사람이 숨쉬기 때문에 결석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부마취를 한다.타원은 고대 그리스에서 정육면체의 부피를 2배로 만드는 작도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동면 동안 에너지 소비를 충당하게 한다. 이들 중추와 체온조절중추가 모두 시상하부에
위치
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연이 아니다. 대개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체구가 작은 편이다. 박쥐, 다람쥐, 고슴도치, 동면쥐가 그렇다. 겨울잠을 자는 동안 체온이 긴가락박쥐는 5℃, 동면쥐는 0℃까지 내려간다.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밖에서는 무생물과 다름없는 존재가 된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무생물과 생물의 경계선에
위치
하는 일종의 기생생물이라할 수 있다. 라틴어로‘독’의미바이러스가 근래에 들어서야 발견된 까닭은 크기가 고작 수십nm(나노미터=${10}^{-9}$m)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바이러스의 실체가 확인된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양의 물이 상류에서부터 상수관을 통해 도시로 공급되고, 도시에서 하수로 변해 하류에
위치
한 하수처리장까지 하수관을 통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하천에서 흘러야 하는 물의 상당부분이 도관을 흐르는 셈이다. 이와 같은 하천의 인위적으로 단절로 건천화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빗물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0년 후에는 매년 30억${m}^{3}$의 수자원이 새로 생깁니다.” 일산에
위치
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에서 만난 김승 단장의 자신에 찬 목소리다. 그리고 거침없이 사업단의 계획을 펼쳐보인다.김단장이 말한 30억${m}^{3}$가 어느 정도 양인지 한번 생각해보자. 깊이 30m고 너비가 1백m라면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않아서 장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실정이다. 다만 대전에
위치
한 기초과학지원연구소가 다양한 극저온 장비들을 갖춰 국내 대학의 여러 교수들이 공동으로 연구팀을 만들어 연구에 매진할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한두대의 장비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야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과정에서는 박물관의 철저한 고증과 전문가의 자문을 토대로 출토된 유물을 갖고 그
위치
를 하나하나 다시 산정해야 한다. 국립공주박물관 진열장에 전시된 유물을 들고 나와 다시 무령왕릉 안으로 들어가 재배치할 수 없는 상황. 단 하나의 방법은 유물을 가상으로 왕릉 안에 배치해보는 것이었다 ... ...
남극 일부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툴락직 박사의 공동연구팀은 특수 위성 레이더를 이용해 관측한 결과, 서부남극에
위치
한 로스빙하의 얼음량이 1년에 2천6백억t 정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 빙하시대 이후 1만여년 간 서부남극 지역의 얼음량이 점점 줄어들었던 것과는 반대 현상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과학자들은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