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 핀 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8
그린 꽃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미국
항공우주국의 화성정찰궤도선이 찍은 최근의 화성 모습이에요. 봄이 되면 화성에서는 이산화탄소 얼음이 기체로 승화하면서 주변 지형을 침식시켜요. 이 때 가스와 함께 분출된 먼지들이 얼음 표면 위에 쌓이면서 검은 부채꼴 형상을 만든 답니다. 어때요? 화성에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8
30㎞보다 낮을 때에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재진입 단계에서만 쓸 수 있다.❺ 우주감시센터
미국
콜로라도에 있는 방공우주사령부는 우주 궤도에 있는 1㎝ 크기의 금속 파편 하나까지도 다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우주발사체라고 속이고 미사일 실험을 하는 경우 금세 구별해 낼 수 있다 우주는 어느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08
일이다.최근 해걸이 현상이 덜 일어나는 새로운 품종 ‘홍로’가 개발돼 시장에 나왔다.
미국
산 사과 2종을 교배해 우리 풍토에 알맞은 개체를 선발한 성과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신용억 박사는 “다른 사과보다 빨리 익고 단단해 유통에 유리한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딸기 - 일본서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08
개발과 산림 벌채를 꼽았다.서울시의 1.6배만 한 크기를 자랑하는 솔튼 호가 한 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솔튼 호는 원래 비가 오면 물이 고이고 날씨가 개면 다시 바닥이 드러나던 웅덩이였다. 하지만 20세기 초 농업용수를 끌어 들이기 위해 물길을 바꾸고 강을 새로 만드는 대규모의 ...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908
있다. 뿌듯하게 생각한다. 처음 일본에서 발매된 이래 한국, 중국을 거쳐 지금은 유럽,
미국
까지 진출했다. 한국이나 중국에서 특히 인기가 높은 걸로 봐서 내 작품들이 동양인의 감수성에 더 맞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판타지를 담은 작품뿐 아니라 과학서적이나 잡지에 실리는 사실적인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08
허용하는 법이다. 특히 오리건 주에서는 1998년 2개월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암 환자가
미국
역사상 첫 합법적 안락사로 생을 마감한 바 있다. 그러나 그 뒤에도 존엄사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미 연방 대법원은 2006년 ‘존엄사는 각 주별로 결정할 수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 ... ...
여행지에서 먹는 물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908
저니 LCD는 강력한 자외선으로 물을 살균해 수돗물, 시냇물 등을 순식간에 식수로 바꾼다.
미국
애리조나대를 비롯한 대학들과 연구소에서 조사한 결과 이 휴대용 정수기로 물에 들어 있는 세균을 99% 이상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살모넬라균과 소아마비를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08
원자력공학자의 꿈을 키웠다.그의 지고지순한 원자력 사랑에 위기는 없었을까?“1979년에
미국
스리마일 섬의 원전에서 방사선이 누출되는 사고가 있었어요. 1986년에는 체르노빌 원전이 폭발했죠. 그때 원자력공학은 한마디로 ‘죽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가 MIT에서 유학하던 1981~1986년 당시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08
올바른 인식이 자리 잡기를 간절히 바란다.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식물육종학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중화녹두 1호’를 개발하며 40여 년 동안 농작물 육종가의 길을 걸어왔으며, 2004년 아시아태평양종자협회(APSA)에서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올 5월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08
게릴라성 호우는 적운형(수직 모양) 구름에서 많이 내린다. 이에 비해 1980년대 후반
미국
에서 연구가 시작된 이중편파레이더는 전파를 수평파와 수직파로 동시에 보낸다. 물방울의 수직축과 수평축 길이를 알아내 입자의 크기와 모양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강수량을 산출해 게릴라성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