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4,7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것이다. 생활과 밀접한 천문학이 발전하면서 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
했다. 오랜 연구 끝에 1961년 4월 12일,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을 태운 보스토크 1호는 지구의 대기를 벗어났다. 우주 탐사에 대한 인류의 꿈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 108분 동안 지구를 한 바퀴 돌고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줄을 선다고 한다. 그러면 청소놀래기는 기다릴 만한 곳이 없는 고객부터 관리를
시작
한다고. 실수로 고객의 몸을 물면 고객이 놀라서 자리를 뜨는데, 이때 청소놀래기가 따라가 상처를 보듬어주며 실수를 사과한다고. 그러면 마음이 풀린 고객이 다시 몸을 맡긴다고 한다. 거의 애니메이션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5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6.18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5편에서는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
된 공학! 건설환경공학부를 탐방한다. 초대손님은 '빗물박사' 한무영 교수! 한 교수가 말하는 건설환경공학은 어떤 학문이고, 3가지 주요 전공 분야는 무엇인지 미니강연을 들어본 뒤 전공에 필요한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케톤체를 만들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즉 12시간은 음식을 끊어야 복부지방이 연소를
시작
한다는 말이다. ‘정신이 맑아진다’는 것도 종교인들이 단식을 즐겨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인데 역시 진화적으로 일리가 있다. 즉 먹을 게 떨어지면 정신을 바짝 차려야 굶어죽지 않으므로 인지능력이 ... ...
[채널A] 브라질 월드컵, 억울한 노골 퇴출…어떻게?
채널A
l
2014.06.16
내일부터
시작
되는 브라질 월드컵에 사상 처음으로 '전자 판독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국제축구연맹이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던 오만하고 그릇된 소신을 접은 건데요. 축구보는 재미가 더 커지게 됐습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0년 남아공월드컵 16강전. 독일을 한 점 차로 추격하던 ... ...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수 없는 한 부분이 되어 있고요." IBS도 많은 부분 비슷하다는 의견이다. IBS도 이제 막
시작
하는 기관이며 아직 사람들이 잘 모르는 기관이다. 선장이 부재 중인 거대 선박에 많은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배 선임은 시대의 요청에 따라 설립된 IBS를 자신의 손으로 조금씩 ... ...
아토초 레이저로 원자ㆍ분자의 초고속 현상 밝힌다
IBS
l
2014.06.12
김 교수는 "나노구조체 근처 혹은 고체 내에서 전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작
되고 있다"며 "앞으로 아토초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전자소자를 개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상대론적 진동 거울을 이용해 아토초 펄스를 생성시키는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김 ... ...
[만화] 안전교육, 주방에도 필요하다!
KISTI
l
2014.06.09
이용하면 왜 요리가 잘 돼요?” “평상시 대기압(1기압)에서 음식은 섭씨 100도에 익기
시작
하지만, 압력을 두 배로 높여주면 섭씨 120도에 익기 때문에 훨씬 빨리 요리가 된단다. 실제로 압력솥을 이용하면 조리시간이 1/3로 줄어들지. 고기도 속까지 푹 익어 부드러워지고. 반대로 산에 가면 기압이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바와 같이 다양한 평형수 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평형수 처리 장치 개발은 이제
시작
되는 단계로 당분간은 여러 가지 기술이 적용되고 검증될 것이다. 그리고 한 가지 기술로 평형수를 처리하거나 여러 가지 기술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평형수 처리 기술 개발은 해양 생태계의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불임 뉴트리노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1960년대부터 있었지만, 진지하게 생각하기
시작
한 것은 1990년대 뉴트리노 변환 실험 결과를 해석하면서부터다. 당시 뮤온 반뉴트리노가 전자 반뉴트리노로 변환되는 실험에서 일부가 사라진 것. 따라서 연구자들은 검출이 안 되는 불임 뉴트리노로 바뀐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