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뉴스
"
개발
"(으)로 총 25,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선거의 계절 딥페이크 판별 등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이제 원자 단위 세계를 들여다보는 방법을 찾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 생화학연구소가
개발
한 원자 크기 해상도로 단백질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로 나노 단위 구조물을 만드는 기술도 주목된다. 나노 크기 구조물은 재료의 강도나 에너지 저장능력 등을 ... ...
[과기원NOW] 반려견 코 사진으로 ’개민증‘ 발급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HAp를 활용해 생체의 골조직 환경을 모방하는 압전성 복합소재를
개발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응용 재료 & 인터페이스’에 지난 4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종석 물리‧광과학과 교수와 박제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연구팀이 스스로 자성을 ... ...
[사이언스게시판] 연구
개발
특구 기술사업화 대상에 다임리서치·바이옴에이츠·이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대표. 과기정통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
개발
특구진흥재단과 함께 연구
개발
특구 기술사업화 대상 수여식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기술이전 사업화, 지역혁신 기여, 사업화 지원 등 3개 부문에서 9개 기업을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특구재단 이사장상을 수여했다. ... ...
작은 공룡들이 사냥에 활용한 '이것'…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어떻게 활용했는지 추측하기 위해 연구팀은 이 공룡을 본뜬 로봇 '로보프테릭스'를
개발
했다. 로봇을 사용해 공룡이 가졌던 외형적 특성이 먹잇감을 사냥할 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폈다. 연구팀은 카우디프테릭스의 먹잇감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메뚜기를 사용해 실험을 실시했다. 풀숲에 ... ...
초대 과학기술수석에 '정책 전문가' 박상욱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라고 말하고 싶다"고 밝혔다. 또 "2023년엔 경제관료 집단이 벼르는 소위 국가 연구
개발
효율화 요구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기도 했다. "(과학기술계는) 위기론에 기대기보다 과학기술 지원 정책을 위한 구체적인 근거를 들이밀어야 한다"는 대안을 내놨다. 과학계는 기초과학분야에서 과학 ... ...
'양자 얽힘'으로 파장대 넘나들며 빛의 상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넘어지면 그 입자와 얽힘 상태인 다른 입자도 동시에 넘어지는 식이다. 연구팀이
개발
한 비검출광자 양자센서는 양자얽힘 현상을 만드는 두 개 광원을 이용했다. 비검출광자는 측정대상에 도달했다가 돌아오는 광자다. 비검출광자 양자센서는 이 광자를 직접 측정하는 대신 이와 한 쌍으로 ... ...
젊은과학자 지원 늘렸다는 정부…현장엔 "눈속임·조삼모사" 불만 터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풀링제는 대학에 소속된 연구책임자가 수행하는 국가연구
개발
과제의 외부인건비를 대학본부에서 연구책임자별로 통합해 학생연구원에게 인건비로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인건비를 충당하지 못하는 연구실이 일종의 긴급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과기특성화대를 ... ...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박남규…젊은공학인상 하정우·최장욱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수상자인 하정우 센터장은 한국 최초, 세계 3번째로 초거대 언어 AI 하이퍼클로바를
개발
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국내 법학, 인문학 분야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AI 윤리 포럼을 구성해 AI 윤리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도 총괄했다. 네이버 AI 안전을 책임지는 퓨처 AI 센터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 ...
국제협력으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발'…KIST-LLNL, 고전압 환경 고체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연구팀은 화학적 결합력이 강한 불소(F)가 치환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Li3MCl5F)을
개발
해 고전압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KIST 연구팀이 염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고전압 안정성 향상 전략을 세우고 LLNL이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결과를 계산했다. 계산 결과는 KIST가 실험을 통해 ... ...
천진우 IBS 단장, 훔볼트 연구상 수상…정밀 나노의학 확립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시기에는 초고속 코로나 진단 기술 ‘Nano PCR’을
개발
했다. Nano PCR은 유엔(UN)의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 달성에 기여해 UN 학술 영향력 성공 사례로도 선정됐다. 현재 천 단장은 IBS에서 나노의학 연구단을 이끌며 해외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들과 활발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