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07
강력이론이 아니라 통일장이론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나아가 1984년 런던
대학
의 그린 박사와 칼텍의 슈바르츠 박사가 초끈이론의 기술적인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이른바 끈이론의 제1혁명이 일어났다. 이 결과 초끈이론은 초중력이론을 누르고 최근까지 프린스턴 고등연구원의 위튼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07
사고에 대해서는 혼동된 이미지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있다. 실제 미국 조지아 주립
대학
의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윌리엄 데반스가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내용을 조사한 결과 과학자들은 뭔가 위험스러운 인물이며, 특히 불가사의한 것을 믿지 않는 과학자들은 오히려 문제 해결을 방해하는 ... ...
나이들면 눈동자색 변한다
과학동아
l
199707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적지 않을 듯하다.미국 콜롬비아
대학
의 비토 박사는 1백87쌍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6세 이후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 눈동자 색깔이 변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눈에 띄게 변화한 경우가 16.6%에 이른다는 점이 밝혀졌다.조사 대상을 쌍둥이로 ... ...
지구 옆에 있던 행성 사라져
과학동아
l
199707
해왕성과 명왕성의 위치를 예견하는데는 실패했다.그런데 최근 루이시아나 주립
대학
의 크리스토돌로가 행성들의 위치를 예견하는 새로운 방법을 미국천문학회에서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그는 중력, 회전, 자기장 등에 따라 태양계를 형성한 원시 구름이 어떻게 응집되기 시작했는지를 연구했다. ... ...
1. 만물의 법칙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707
우주에는 만물의 법칙(theory of everything)이 존재할까. 자연에 존재하는 4가지 힘을 하나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ㅇ르까. 뉴턴 이후 물리학자의 최대의 꿈인 통일장이론의 계보를 따져보면서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자.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끝은 어디인가? 이 우주를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물 ... ...
① 병을 스스로 이겨내는 능력을 키운다
과학동아
l
199707
지압함으로써 환자를 치료하는 카이로프랙틱의 경우 이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대학
이 미국에 20여개 설립돼 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최근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은 자연요법의 과학적 타당성을 면밀히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 ...
질소가 너무 많아진다
과학동아
l
199707
질소 과다로 고통을 받고 있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스탠포드
대학
의 생물학 교수인 피터 비토우섹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질소 가스가 2배나 많아졌다고 한다.대기 중의 질소량은 일정하게 유지돼야 한다. 만약 대기 중에 질소 가스가 많아지면 토양 속의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뉴트리노 연구의 대가 김정욱 박사
과학동아
l
199707
필요하다. 그런데 지구 상에서는 이런 고에너지 실험을 할 수 없다. 1974년 하버드
대학
의 조지아이와 글래쇼가 매우 단순한 대통일장이론을 세웠다. 그런데 여기에는 힘을 전달하는 ‘X입자’가 필요했다. 그런데 이 입자는 너무 무거워 잴 수가 없다. 또 어떤 입자가속기도 그만큼 큰 에너지를 낼 수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초끈이론 개발한 존 슈바르츠
과학동아
l
199707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초끈이론이 완성된 것은 10년 후인 1984년으로, 나와 영국 퀸메리
대학
의 마이클 그린이 힘을 모았다. 이를 흔히 끈이론의 1차혁명이라고 부른다. 보존과 페르미온은 초대칭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끈이론은 끈이론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결국 초끈이론은 26차원의 ... ...
정보고속도로운행증
과학동아
l
199707
만들 것으로 본다. 이밖에도 98년도부터는 동아대, 인제대, 원광대 등 전국 20여개
대학
에서 PCT를 학점으로 인정하며, 동우전문대에서는 입학전형에도 활용하기로 했다.그러나 PCT가 영어의 토익처럼 진짜 실력보다는 점수따기 위주로 변질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문의는 한국정보산업연합회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