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료
벗
동무
교우
동지
단짝
전우
d라이브러리
"
친구
"(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아폴론에게 태양을 싣고 다니는 마차를 몰게 해달라고 졸랐다. 태양 마차를 몰고
친구
들 앞에 멋지게 나타나려고. 하지만 파에톤의 초보운전은 큰 재앙을 불러왔다. 태양 마차가 궤도를 이탈해 온세상이 불타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광경을 본 제우스가 마차를 향해 번개를 던졌고, 결국 파에톤은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인형’(人形) 하면 인간의 형상을 본따 만든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이 떠오른다. 그런데 다큰 어른인 과학자도 인형을 갖고 논다. 한명도 아닌 수십명 과학자들의 보살 ...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앞으로 인간을 위해 더욱 분주히 뛰어다닐 무표정한 인간의
친구
더미의 활약을 기대해보자 ... ...
착시 이용해 마법학교 입학하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되풀이하면
친구
의 모습이 맥박치는 듯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움직이는 모습을 눈으로 집중해 쳐다보면 주어진 방향으로 우리의 시선이 끌려가게 된다. 이때 눈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근육은 자꾸 원래의 위치로 시선을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확인하게 되면서 세상이 매우 좁다는 것을 느낀다. 처음 만난 사람도 서로 자기
친구
의
친구
라는 관계를 확인하고 나면 두사람 간의 보이지 않았던 장벽이 허물어지고 가까워짐을 느끼곤 한다. 이렇듯 우리는 세상이 좁다는 사실을 때때로 느끼고 경험한다. 실제로 세상은 좁을까. 그렇다면 얼마나 ... ...
코르크 마개 퇴출은 생태계 적신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딴지를 걸고 나선 과학자가 있습니다.미국 보훈병원 호흡기연구소의 니말 크란 박사는
친구
가 만찬 전에 미리 코르크 마개를 따두라고 충고하자 도저히 그 말을 믿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코르크 마개에 바늘같이 가는 관을 삽입한 다음, 병 안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별과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했던 사람은 프랑스의 니콜라스 파이레스크였다. 갈릴레이의
친구
였던 그는 갈릴레이가 만든 망원경으로 1610년 경 오리온대성운을 관측하고 보통 별과 다르다고 기록했다.이후 많은 천문학자들이 오리온대성운에 관심을 가졌다. 1656년 네덜란드의 호이겐스는 처음으로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니면 “복제됐으면 어때, 사람들이 아주 성실하고 좋더구먼. 그 사람들은 이미 내
친구
야”라고 할 것인가.생명과학의 눈부신 발달이 새로운 사회윤리를 요구하고 있다. 바야흐로 인간 유전체(genome)가 거의 그 전모를 드러냈고 양에서 출발한 체세포 복제가 급기야 원숭이에 이르렀다. 복제인간의 ... ...
해리포터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숨겨져 있다. 또 9와 4분의 3번 승강장에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탐험 여행을 떠나는
친구
들로 가득하다. 예를 들어 마법의 빗자루에서는‘비행’을 주제로 마법사의 빗자루와 인간의 비행기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지고, 여기에 중력과 반중력이라는 과학 원리가 더해지는 형식이다.해리포터에는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유향숙 박사(53)가 중학교 시절
친구
들과 함께 고민했던 내용이다. 유 박사와 그녀의
친구
들은 모두 봉사 정신이 투철했다고 한다. 유 박사는 나름대로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던 와중 중학교 2학년에 올라갔다. 어느날 학교에 초청됐던 한 강사가 “국가 발전을 위해 과학을 해야 한다”라고 ... ...
돌고래 대화 엿듣는 잔점박이물범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동물은
친구
와 적을 구별하는 일이 아주 중요하다. 이 때문에 피식자인 동물이 자신을 사냥하는 포식자를 어떻게 인지하는지가 관심의 대상이 돼 왔다. 영국 세인트앤드류대의 볼커 덱케 박사팀은 잔점박이물범이 범고래의 소리만으로 위험을 감지한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11월 14일자에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