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인 가구가 늘면서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들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끝없이 사람의 애정을 갈구하는 개와 달리 야생동물처럼 독립적이기 때문. 그런데 이상하다. 인간의 사랑을 듬뿍 받는데, 왜 아직도 야생의 습관을 간직하고 있는 걸까. 고양이가 보여주는 야생성과 사회성, 그 猫(묘)한 줄타기의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소개팅은 무조건 파스타집에서’, ‘2차는 서로의 얼굴이 안보일 정도로 어두운 술집에서’. 인터넷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소문이 난무한다. 이것을 곧이곧대로 믿어온, 연애를 글로 배운 이들이여. 늦지 않았다. 그날의 분위기를 어떻게 만들어나갈지 ‘과학적으로’ 분석해 보자.분위기란 특 ...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게임을 해본 이들이라면 잘 알 것이다. 멋지고 ‘짱짱쎈’ 필살기만 쓰면서 적을 물리칠 수는 없다.‘Magic Point(MP)’라는 게 있어서 기술을 쓸수록 MP가 줄어든다. 마구잡이로 쓰다가는, 정말 필살기가 필요할 때 쓰지 못할 수도 있다. 마치 모든 힘을 토끼에 쏟은 사자가 통통한 물소 떼를 넋 놓고 바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르는 사람들끼리만 시험 보려면?저르퍼시의 추측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알렉스 스콧 교수와 미국 프린스턴대 폴 세이머 교수가 30년 묵은 난제 ‘저르퍼시의 추측’을 풀었습니다. 저르퍼시의 추측은 1985년 헝가리의 수학자 언드라시 저르퍼시가 제기한 추측으로, 모르는 사람들끼리만 시험을 치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당시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으로 선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소리 내어 말하기6÷2=3는 6에 2가 3번 포함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나눗셈은 포함제로 생각하기로 약속하고, 나눗셈의 의미를 소리 내어 말해 보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1÷1/2=2를 쓰면 학생은 1에 1/2이 2번 포함된다고 소리 내어 말합니다.2단계 : 종이로 직접 확인하기종이를 준비해 1단계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을 앞둔 어느 날, 아주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지사탐 대원으로 활동하던 두 팀이 ‘제2회 국립생태원 생태·환경 동아리 탐구발표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거예요. 그 주인공은 바로 ‘내 친구 봄이’팀과 ‘발자국’팀! 두 팀은 힘을 합쳐 ‘프로비’라는 ... ...
- [News & Issue] 더우면 수컷되는 악어,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생물더우면 수컷되는 악어, 이유는?악어나 거북과 같은 대다수의 파충류는 알이 부화되는 온도에 따라 새끼의 성별이 바뀐다. 이를 ‘온도 의존성 성결정(TSD)’이라 하는데 일본 연구팀이 그 원인을 찾아냈다.일본 국립기초생물학연구소 이구치 타이센 교수팀은 ‘TRPV4’라는 단백질이 북미산 악어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얼마 전 예능프로그램에서 원숭이를 묘사한 중국무술의 후권(猴拳)을 봤습니다. 정신없이 왔다 갔다하고, 봉을 타고 올랐다가 내려갔다 합니다. 참 잔망스럽기 이를 데가 없더군요. ‘정말 원숭이가 저렇게 싸울까?’ ‘중국무술은 동물을 맞게 표현한 걸까?’ 궁금증을 풀어보고자 쿵후 전문가에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16년 1월 13일 3시. 같은 장소에, 같은 이들이 다시 뭉쳤다.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통계물리학자인 김범준 성균관대 교수부터, 한국인 노벨상 후보로 꼽혔던 김필립 하버드대 교수까지, 다양한 일을 하고 있는 그들에게 왜 현재의 일을 시작하게 됐느냐고 물었다.“원래 나노튜브를 연구했는데, 이의 ... ...
이전4384394404414424434444454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