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물체의 상이 다섯개 보일 때의 거울 사이의 각과 같다→ 15㎞를 간다→ 시계방향으로 방향을 바꾼다. 두개의 거울 사이에 물체의 상이 다섯개 보일 때의 거울 사이의 각과 같다→ 10㎞를 가면 거울나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 보인다.왜 그럴까?! 위 활동을 통해 한끝을 맞닿고 있는 두 거울 사이에 ...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과학동아 l2001년 01호
- 해, 달, 별이 뜨고 지는 법에 대해서는 초등학교에서 거의 다 배운다. 하지만 그 내용이 의외로 까다로워 많은 어른(고등학생 포함)들의 체면 ...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4)의 정답은 여전히 C다. 하지만 한달 후에는, 즉 4월에는 해는 정동 방향보다 북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5)의 정답은 B다 ...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앞으로 ESA가 지구접근천체에 의한 위협과 대책에 관한 연구에 착수해야 할 것이라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2001년 개최 예정인 유럽 내 관계장관회의에서 안건으로 채택하게 될, ESA의 미래 역할에 관한 문건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 회의는 유럽연합(EU)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전자의 회전)을 이용해 검출한다. 마이크로웨이브를 비추면 결함이 있는 전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전자상자성공명법은 생물과 무생물의 연대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단군릉에서 발굴된 유골에 흔히 사용되는 탄소연대측정법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 ...
- 12억원 상금 걸린 지뢰찾기 게임과학동아 l2001년 01호
- T면), y의 위치에는 지뢰가 없고(F고), x에 없으면 y에 있다. 이 연결끈의 역할은 길이 방향으로 신호(T 또는 F)를 전파하는 것이다.또한 카예 박사는 지뢰찾기 게임에서 모든 논리연산자를 구현해냈다. 예를 들어 NOT 연산자의 경우를 보자(그림2). 연결끈 중간에 그림과 같은 숫자의 묶음을 집어넣으면 ... ...
- 리프킨의 엔트로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것과 마찬가지다.과학 개념으로 사회현상 해석결국 열역학 제2법칙은 물리 현상에 방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리프킨은 이러한 엔트로피 개념을 바탕으로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사용 가능한 것에서 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또는 질서있는 것에서 무질서한 것으로 변화한다”고 해석하고 ...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머리가 두개이므로 서로 생각하고 먹이를 먹고자 하는 의지 또는 가고자 하는 방향 설정이 틀리기 때문에 오래 살지 못하고 쉽게 죽는다.또 특이한 뱀에는 몸통이 하얀 백사(白蛇, Albino snake)가 있다. 백사는 백화증(Albinism)에 걸린 개체이다. 백화증은 피부의 색소세포 속에 멜라닌이란 색소가 함유돼 ...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생활에 직접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성과를 얻으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 발전 방향이 점점 실사구시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의미다.북한의 과학기술 명문대북한을 대표하는 대학으로는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그리고 리과대학이 있다.김일성종합대학은 소위 북한 권력의 산실이다. ...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잘 발화하지 못하고 정상적인 기능을 잃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손이나 발의 움직임, 방향, 속도 등을 지각하는 뉴런의 수용체가 역치값이 올라감에 따라 둔해져 제기능을 잃게 되는 것이다. 심할 경우 걷기가 힘들어지고 균형감각을 잃게 되기도 한다. 물리학자들과 의사들은 이런 증세로 ...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밤하늘에서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이같이 지구에서 볼 때 두 거대행성이 같은 방향에 놓여 나란히 빛나는 모습은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니다. 이번 겨울이 지난 후 다시 이와 같은 모습을 보려면 2059년 11월까지 기다려야 한다.갈릴레이위성의 숨바꼭질태양계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지름이 ... ...
이전4384394404414424434444454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