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뉴스
"
몸
"(으)로 총 5,26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물범 어미는 냄새로 제 아들 알아본다
2015.08.11
함께 각 물범에서 피부에서 나는 냄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가 높을수록
몸
냄새의 성분도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척추동물이 독특한 화학물질을 이용해 소통하는 것은 잘 알려진 현상이지만 과정이 복잡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공동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따라서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세포 사이에 유체(액)가 넘쳐나면서
몸
이 붓게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림프계가 뇌에는 분포하고 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림프계가 없는 뇌에서 왜 탈이 생기지 않는지는 오래된 미스터리였다. 지난 2013년 10월 18일자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 ... ...
우리가족 금연 프로젝트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31
NNK가
몸
속에서 반응한 후 만들어진 물질이다. 흡연으로만
몸
속에 들어올 뿐만 아니라
몸
에 오랫동안 남아 있기 때문에 간접흡연의 정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8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2cm
몸
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네 다리를
몸
쪽으로 모으는가 싶더니 이내 수직으로 솟구친다. 로봇이 뛰어오른 높이는
몸
길이의 7배에 이르는 14.2cm. 뛰어난 점프력도 실제 소금쟁이와 비슷하다. 소금쟁이를 모사한 ‘소금쟁이 로봇’은 조규진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과 로버트 우드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이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생각했는데, 사람이 차에서 내리는 동작을 관찰해 보니 미끄러지듯 살짝 중력에
몸
을 맡기는 순간이 있더라”면서 “휴보에게도 그 방법을 적용해 마치 착지하듯 내려오게 했다”고 말했다. 사이언스바캉스에서는 최근 생명공학 분야 최대 이슈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이 소개됐다. -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속을 떠다닌다면 세포는 DNA에 엉켜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다. 이것을 막기 위해 우리
몸
은 마치 실패에 묶어 실을 보관하듯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DNA를 칭칭 감아서 보관한다. 염기 150개당 히스톤 8개가 팽이 같은 구조를 이뤄 DNA를 압축해서 저장한다(위 그림 참조). 이 구조를 ... ...
집밖에서 피운 담배 속 발암물질이 자녀의
몸
속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29
“비록 이번 실험에 참여한 실험자의 수가 적지만, 아빠가 담배를 많이 피울수록 자녀의
몸
에 발암물질이 많다는 것은 간접흡연의 의미 있는 결과다”라고 말했다. 어린이과학동아 편집부는 간접흡연의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부모님들의 금연을 돕고자 8월 1일부터 ‘우리 가족 금연 ... ...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막] “TV에서만 보던 ‘휴보’ 직접 조종하니 신기”
2015.07.28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드론을 직접 날려 보거나,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등 첨단 과학을
몸
으로 체험하기 위해 길게 줄지어 순서를 기다렸다. 이밖에도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에는 22개 정부 출연연구기관이 각 연구원의 특색에 맞는 체험 및 전시물을 선보이며, 전국 200여 개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진화학자들의 학설 중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주장이 있다. 인간이 수렵채취 시대부터
몸
안에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하기 위해서 에너지원이 되는 기름진 맛(지방)과 달콤한 맛(탄수화물)에 쾌락을 느끼도록 진화했다는 것. 기름진 고기 요리나 달콤한 디저트는 쿡방의 단골 소재다. 인간은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알 수 있었다. 편도체는 공포의 정서적 반응을 신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몸
이 공포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신경신호를 중계하는 것이다. 편도체의 이런 작용은 태어날 때부터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자라면서 경험을 통해 특정 물체 및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게 된다.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