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방법은 A용액은 10ml당 2g, B용액은 10ml당 1g이라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호는 실험 시작 전에 A용액과 B용액을 구분할 수 있을까?오늘 실험은 비교적 간단했는지 모두 일찍 마쳤다. 학생들은 평소보다 일찍 끝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들떠 있다. 하지만 수업 시간을 채워야 하는 상호는 학생들에게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다르게 묘사할 수 있다. 인공지능에게 사진을 분석시키려면, 사진의 어느 지점에서 시작할지부터 정해줘야 한다. 이게 바로 비정형 데이터다. 알파고는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경험이 없다.이게 왜 문제가 될까. 이승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은 “IBM은 인공지능 왓슨으로 제퍼디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비로소 시간의 실체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0세기는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꽃을 피운 시대였고, 물리학자들은 위대한 두 이론을 당연히 통합하려고 했다. 예를 들어, 우주 전체를 파동과 같이 양자역학에서 주로 다루는 성질로 설명하는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운반해도 검역 과정에서 포장을 열면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과일 표면에 닿아 부패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때 플라스마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플라스마로 처리해 진공 포장하는 방법이다. 실험결과 딸기에 플라스마를 쪼인 뒤 헬륨 가스로 포장한 경우, 일반 진공 포장을 했을 때보다 곰팡이균의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2000년, 한 지질학 회의에 참석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폴 크뤼천은 계속 심기가 불편해 보였다. 회의 의장이 자꾸만 홀로세(Holocene Epoch)를 언급했기 ... 가도 현재와 같은 풍경은 절대 볼 수 없을 정도로 상당한 변화가 있는 만큼, 하나의 ‘세’를 시작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때 사망자의 신원을 알아내기 위해 우선 이 뼈가 사람의 것인지 동물의 것인지 살펴보기 시작해요. 만약 사람이라면 몇사람의 것인지, 남자의 뼈인지 여자의 뼈인지 등을 조사한답니다. 게다가 이빨이나 두개골 뼈가 붙어 있는 정도를 분석해 사망자의 나이를 추정하거나 팔과 다리뼈로 키를 계산해 ...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른 코끼리나 아기 코끼리랑 똑같겠지요."단의 대답에 벽에 있던 코끼리가 움직이기 시작했고 곧 아기 코끼리로 작아졌다. 아기 코끼리는 아장아장 냉장고 속으로 기어 들어가서 코로 문을 닫았다. 냉장고 문이 닫히자 클라인 공간이 변하면서 다음 공간으로 이동하는 문이 열렸다. 공간이 원래대로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올레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그 속에 숨어있는수학을 찾아보는 여행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올레’는 제주 방언으로 ‘거리에서 대문까지, 집으로 통하는 아주 좁은 골목 비슷한 길’을 뜻합니다. 옛날에는 ‘오라’ 또는 ‘오래’라고 불렀는데, 문(門)을 뜻하는 순우리말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 판은 요행으로 이길 수 있겠지만 가위를 낸다는 걸 알아차린 상대가 주먹을 내기 시작하면 절대 이길 수 없다. RTS게임에서는 상대의 정보를 끊임없이 파악하며 그에 맞춰나가는 게 매우 중요하다. 스타크래프트의 경우 정찰이다. 최근의 인공지능은 대부분 정찰을 진행해 상대의 전략을 보고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보는 우주의 난제를 푸는 과정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가령 ‘태양 에너지가 어떻게 진공인 우주 공간을 지나 지구까지 전달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어떤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명 에테르 가설이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에테르가 없어도 빛 ... ...
이전43743843944044144244344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