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벨연구소 박사에게 돌아갔다. 또 2014년 노벨 물리학상은 청색 발광다이오드(LED)를
최초
로 개발한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 메이조대 교수와 아마노 히로 나고야대 교수,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가 차지했다. 같은 해 노벨 화학상은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 ...
노벨상 족집게 프리노벨상 아시아에도 있다…국내에선 호암상 인정받아
과학동아
l
2018.10.02
활성을 억제하는 CTLA-4 단백질을 발견함으로써 면역 항암 치료의 가능성을 학계에
최초
로 제시했다. 국제적으로는 아직 프리 노벨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한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과학자들이 인정하는 호암상도 있다. 호암상은 1990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고(故)이병철 삼성 명예회장을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대해 효과가 있는 ‘니볼루맙’과 ‘펨브롤리주맙’의 개발이 이뤄졌다. 니볼루맙은
최초
로 PD-1 억제제로 2014년 승인받았다. 해당 약품들은 이미 국내에도 도입됐으며 일부 건강보험 급여도 이뤄지고 있다. 이대호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면역관문 치료제의 장점은 상대적으로 ... ...
면역기능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종합)
2018.10.01
이어져서, 피부암인 흑색종에서 CTLA-4을 억제하는 ‘이필리무맙(상표명 예르보이)’이
최초
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정식 판매 승인을 받아 2011년부터 판매 중이다. PD-1 억제제인 니볼루맙(상표명 오프디보)은 2014년 처음 승인을 받았다.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둘 중 PD-1이 부작용이 적어 ... ...
[2018노벨상] 노벨상 근접 한국 학자 13명…올해 노벨상 3대 관전 포인트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 유룡 KAIST 교수(탄소구조) 등이 이름을 올렸다. 다만 응용과학의 비중이 높아 ‘
최초
의 발견, 발명’을 중시하는 노벨상의 취지와는 거리가 있고, 이미 수상자가 나온 분야도 있어 실제 노벨상 수상 여부를 예측할 수는 없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하지만 노벨상 수상자에 육박하는 좋은 성과를 ... ...
인류
최초
로 달 밟은 닐 암스트롱 유품 3000점 경매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버즈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와 함께 달로 떠났다. 당시 그는 올드린과 함께 사상
최초
로 달에 착륙해 2시간 반가량 달 표면을 탐사한 뒤 무사히 지구로 돌아왔다. 이후 대학 교수, 기업 경영인 등으로 지냈던 암스트롱은 2012년 병세가 악화되면서 82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 ...
[2018노벨상]"한국 노벨상 콤플렉스는 자신감 부재 산물" 연구재단 보고서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중국의 영향이 컸다. 일본은 2000년대 이후 17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냈고 중국 역시 2015년
최초
로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면서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려온 한국의 수상에 대한 기대와 조바심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국내 언론과 일부 과학자들은 2000년 이전까지 국내 과학기술과 ... ...
[2018노벨상]'여성 과학자에겐 유리천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사이엔 “여성 과학자들의 업적이 충분히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초
의 여성 노벨물리학상(1903) 수상자는 여성 과학자의 대명사 ‘마리 퀴리’퀴리가 꼽힌다. 그는 8년 후 노벨화학상(1911)까지 수상해 노벨상 2관왕에 올랐다. 그의 딸 이렌 졸리오-퀴리도 어머니의 뒤를 이어 ... ...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공정에 쓰이는 촉매의 일종인 제올라이트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박 교수는 세계
최초
로 고체형 페트로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해 에너지효율 최근 2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 ...
‘이모지’ 만드는 초소형 안면 스캐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메타표면을 이용해 전 방향으로 빛을 뿌릴 수 있는 ‘점 구름 생성기술’을 세계
최초
로 구현했다”며 “모션 캡쳐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기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