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길"(으)로 총 4,42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6 최고의 과학 발명품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3
- 설계에 필수품인 줄자. 친구들도 아버지를 도와 사용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줄자가 의외로 무서운 흉기가 되기도 한다. 길이를 잰 뒤 갑자기 재빠르게 감기는 줄자의 날은 사용자에게 웬만한 칼보다 더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 ‘2006년 대한민국발명대전’에서 금상을 수상한 ‘코메론 안전 줄자’는 버튼을 눌러 줄자를 고정할 수 있다. 곰처 ...
- 한반도의 멸종위기 동물들-우리가 사라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061128
- 게, 심지어 뱀까지 잡아먹어 한반도의 생태계를 황폐하게 만들고 있어. 이외에도 식량자원을 늘린다는 이유로 강에 풀어 놓은 블루길과 배스, 애완용으로 들여온 붉은귀거북이 우리 강의 생태계를 망가트렸지. 외국에서 들어온 돼지풀, 서양등골나무, 물참새피와 같은 식물과 소나무재선충과 같은 해충 등 다양한 외래종이 우리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단다. 멸종 ...
- 낙엽 수집가 ‘이리거러도 바스락’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국제 축구경기장은 길이가 최소 100m에서 최대 110m, 폭은 최소 65m에서 최대 75m이어야 한다. 이리거러도 바스락이 직접 축구장을 재 보니 길이 110m 폭 70m이었다. 낙엽이 가로세로 1m의 정사각형 안에 120장 들어간다고 할 때 축구장을 모두 메우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낙엽이 필요할까? mission 2 운반차는 ...
- 살아 숨쉬는 녹색의 도시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잠깐! 환경상식 - 어도 강에서 물고기가 다니는길. 알을 낳기 위해 먼곳으로 이동하는 물고기들이 쉽게 강을 거슬러 올라가도록 길을 만들어 줘야 한다. 이런 어도가 많을수록 다양한 물고기들이 강을 찾아 생태계가 복원되고 다양해진다. 지난 10월 16일 서울 한강의 잠실대교 아래에도 새 어도(사진)가 생겼다. 턱의 높이가 50cm나 ...
- 동이마을 비내리제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나와 준호는 당장 마을 네트워크에 비내리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올렸다. 한 명이라도 더 많은 마을 사람들이 비내리제 지지자가 되길 바라며 있는 힘껏 홍보활동을 폈다. 발야구팀 선수들도 그간의 일이 무척 마음에 걸렸는지 앞다투어 부모님 설득작전에 동참했다. 마을 사람들은 격론을 벌였다. 가뭄이 올해만 있는 것도 아니고 이대로 언제까지나 윗산 마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3
- 따끈한 똥이 항문에서 떨어지는 그 짧은 순간 우리는 똥과 영원히 이별한다. 똥은 차가운 물에 풍덩 빠져 거센 물길에 휩쓸리고 길고 긴 배수관을 통과한다. 정화조에 모여 신세타령을 하고 있을 때쯤 푸른빛의 똥차가 똥을 단체로 수거해 간다. 이제 가는 곳은 배수종말처리장. 위에 뜨는 맑은 물을 걸러 낸 뒤 똥의 일부는 미생물 분해 시설 ...
- 고향가는 길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문제가 하나 있다. 마을로 가는 길이 너무 복잡한 게 아닌가? 표지판을 잘 살펴보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계신 마을인‘안5리’로 가는 길을 찾아보도록 하자. 이제 보름달 보기 싫어~! 예상대로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가족들을 만나 매우 기뻐했다. 올 추석에는 보 지 못 할 거라고 실망했는데, 뜻밖에 만나게 되서 더욱 기뻐했다. 할머니는 가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가지고 있어 무척 조심해야 했다. 이빨을 비교해 본 결과 사자의 송곳니는 7㎝, 호랑이는 9㎝로 호랑이가 약 2㎝ 더 길었다. 이빨이 길다고 더 날카로운 것은 아닐 것이다. 사자와 호랑이 중 어느 동물이 더 강한 것일까? 모두가 궁금해 하는 점일 것이다. 그래서 싸움을 시켜 보려고 했으나 둘 다 서로를 견제하며 싸움에 응하지 않았다 ...
- 거울여왕 ‘에또 반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714
- 모습을 찾아야 한다. 거울에 비친 모습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썰렁홈즈는 어디로 가야 할까? mission 2 두 개의 거울, 네 개의 입구 길을 따라 가다 보니 커다란 거울이 있는 곳이 또 나왔다. 이번에는 거울 두 개가 붙어 있었다. 특이한 점은 각각의 거울을 90도로 기울여 붙여놓은 것이다. 이 때 어디선가 거울여왕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
- 암석나라 삼형제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714
- 암석나라에 삼형제가 살고 있었다. 첫째 화성암은 성격이 급하고 불같이 뜨거웠다. 둘째인 퇴적암은 굽이굽이 길 따라 강 따라 여행하는 것을 좋아했다. 막내 변성암은 몸이 약했는데, 날이 더워지고 기압이 높아지면 성격이 휙휙 변하곤 했다. 오늘은 암석나라 삼형제가 어떻게 태어났는지 알아보자. 첫째는 화산에서 태어났다 뜨거운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 ...
이전4364374384394404414424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