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개념과 특성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속도가 C=f·λ인 관계를 이용하면 광속도 C가 기본상수로 정해졌으므로 진동수를 정확히 측정하면 파장을 알 수 있게 된다. 진공이 아닌 매질 속에서의 광속은 진공에서의 광속보다 느리며 어떤 매질에서의 광속도와 진공중의 광속도 비율이 바로 그 매질의 굴절률이 된다. 공기의 굴절률은 진공에 ... ...
- 원예 꽃을 가꾸며 보낸 40년과학동아 l1989년 11호
- 가꾸지 않고서는 제대로 할 수 없다고 말해 주었다. 젊은이들은 실험실에 들어 앉아서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만이 연구라고 착각한 듯히다. 그들은 분석의 시료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은 모르고 있었다.내가 동래에 있는 우장춘박사 밑에서 공부를 해야겠다고 작정했을 때 어머님은 몹시 싫어하셨다. ... ...
- PART3. 쾌적한 조명환경과학동아 l1989년 11호
- 같이 H와 R을 각각 수직높이와 수평거리(광원에서 측정점까지의)라하고 D를 광원과 측정점까지의 실제 거리라 한다면, β=θ이고 더욱이 cosθ=cosβ=H/D이기 때문에 수평조명도(${E}_{h}$)는${E}^{h}$ =$\frac{Ⅰcosθ}{{D}^{2}}$ = $\frac{Ⅰcosβ}{{D}^{2}}$ = $\frac{IH}{ ...
-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과학동아 l1989년 11호
- 레이저의 이용, 인공위성을 사용하는 외계에서의 실험, 중력파에 의한 시간변화의 측정 등 이를 찾기 위한 인류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보이저 2호 같이 멀리가는 인공위성에 싣고간 시계와 지상의 시계는 중력파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 속력을 갖는다. 이를 정밀한 통신방법으로 ...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원자단위의 격자결함을 평가하기 위해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를 이용하는 양전자소멸 측정기술 등도 새로운 비파괴 평가 기술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비파괴 검사기술은 앞으로도 계속 더작은 세계를 보다 정밀하고 빠르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그려내기 위해 개발될 것이다. 이제 비파괴 ... ...
-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성공하였다. 이러한 극초단 펄스레이저는 초고속 반도체소자의 스위칭 속도측정 등의 초고속현상 연구에 응용되고 있다. 광합성도 일종의 광화학반응빛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그 물질은 에너지가 높은 상태로 여기된다. 빛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정된 분자가 ... ...
- 보다 정확히과학동아 l1989년 11호
- 또 다른, 보다 먼 지평을 보여준다. 이것을 추구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보다 정밀한 측정은 우주에 대한 우리의 보다 깊고 만족스런 이해에 도움이 되며 이제껏 별 의문없이 받아들였던 미세한 차이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과학에는 할 일이 끝나는 상태는 결코 오지 않을 것이다.To ...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과학동아 l1989년 10호
- 갖추어져 있는데 그중에는 2대의 TV카메라(광각용 협각용), 적외선 및 자외선측정기, 자기측정기, 입자탐지기, 전파탐지기 등이 있다. 보이저의 기본적인 추진력은 방사선동위원소를 이용한 열전(thermoeletric)발전을 통해 얻는데, 미약한 동력만 있으면 활동하는데 지장이 없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정밀도는 실로 대단하다. 예컨대 마이크로파 레이저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측정시 1㎞정도의 오차를 내었으나 레이저 레이다는 그 오차한계를 훨씬 줄여 놓았다.미국의 아폴로 우주선이 날라다 놓은 월면의 역반사기를 이용하면 불과 몇㎝의 오차 밖에 나지 않는 것이다.아무튼 레이저 ... ...
- 온실효과로 균열·이동시작과학동아 l1989년 10호
- 걸릴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문제 즉 빙산 아래의 압력차이는 지질도작성 이전에도 측정될 수 있다. 만약 해마다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면 이것은 거대한 빙산이 보다 빨리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며 압력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빙산의 운명도 어느 정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4364374384394404414424434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