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3 “우리집 화단에서 출발하는 생태탐사”하반기부터 시작하는 매미와 귀뚜라미 탐사는 바로 우리집 앞마당에서부터 탐사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전국에 흩어져 있는 탐사대원들이 자신이 사는 동네에서 탐사한 결과를 보내면 장 교수팀은 이를 바탕으로 도시 생태계를 연구할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자동차 사고가 더 많이 일어난단다. 이런 문제점을 말끔하게 해결해 주는 우산이 있어. 바로 빗방울로 스스로 빛나는 라이트드롭 우산이야. 이 우산은 2008년 ‘핀업컨셉디자인어워드’ 학생컨셉디자인 부분에서 은상을 받은 박상균 디자이너의 작품이란다. 빗방울이 우산에 닿는 순간, 빛이 되어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긴 지름 3㎜ 플라스틱이 펜촉에서 최고 270℃의 열에 녹은 다음, 밖으로 나오자마자 바로 굳어져 허공에 그림을 그리듯 물체를 만들 수 있답니다. 이 원리는 3D프린터의 한 종류인 고체 방식과 같아, 3D프린터를 펜 모양으로 만든 셈이죠.3D펜은 길이 18㎝, 무게 200g으로 두꺼운 편으로 어린이가 잡기에는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중 한 종류일 뿐이라고!그런데 살인진드기로 오해 받아서 억울한 친구들이 또 있어. 바로 빈대와 벼룩. 빈대와 벼룩은 우리와 달리 다리가 6개인 곤충이야. 빈대는 4㎜ 크기로 갈색에 납작하고 둥근 모양이야. 피를 빤 뒤 몸이 빨갛고 빵빵하게 부풀지. 벼룩은 옆으로 납작하게 생겼어. 역시 4㎜ 크기에 ... ...
- 호박고구마 VS 밤고구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오히려 열량이 낮답니다. 자색고구마껍질처럼 속도 보라색인 고구마가 있어요. 바로 자색고구마랍니다. 자색고구마의 보라색은 ‘안토시아닌’이라는 색소가 내지요. 안토시아닌은 몸속에 생긴 활성산소를 없애 주는 항산화역할을 해요. 블루베리나 검정콩에도 들어있어요. 자색고구마는 ...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흔적을 기록하라!꿀벌탐사대 현장교육에서 재빈은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바로 모두가 스마트폰을 들고 있었던 것. 재빈은 ‘어린이과학동아’ 변지민 기자가 현장교육에 앞서 했던 말을 기억해 냈다.“여러분, 스마트폰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꿀벌 사진도 찍을 거예요. 스마트폰으로 많은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행렬은 현실 세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는데, 그 예가 바로 생태계의 먹이그물 이다. 실제 생태계는 매우 복잡하지만, 독수리와 뱀, 쥐로만 이뤄진 생태계를 가정하고 i가 j를 먹을 경우는 1로,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으로 하는 먹이그물 행렬 A를 만들어보자. 독수리(1), 뱀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폐기했던 우주상수처럼 반중력 현상을 일으키는 존재가 다시 필요해진 것이다. 그게 바로 진공에너지다.진공에너지 이론은 아무것도 없어 보이는 공간에 서로 밀어내는 에너지가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아무것도 없는 진공에 어떻게 에너지가 있을 수 있을까. 여기서 진공이라는 개념을 ...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올해 2월 15일 러시아 우랄산맥 인근 첼랴빈스크 주 상공에서 일어난 유성체 폭발로 7000여 채의 건물이 훼손되고 1600여 명이 다치는 사건이 있었다(과학동아 2013 ... 유성체는 아주 흔한 형태의 소행성”이라며, “훗날 소행성으로 인한 참사가 벌어진다면 바로 이런 종류일 것”이라 말했다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설정이 비슷하다. 영화는 같은 이름의 소설에서 타임머신 아이디어를 빌려왔는데, 바로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그의 오랜 친구이자 캘리포니아공대 이론물리학과 교수인 킵손에게 조언을 얻어 쓴 소설이다. 킵 손 교수는 ‘아인슈타인-로젠다리’에서 얻은 불안정한 웜홀에 주목했다. 그리고 ... ...
이전4364374384394404414424434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