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스페셜
"
원리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목성 대기에 형성된 버섯 모양의 독특한 구름 구조와 내부에서 두 종류의 번개가 치는
원리
를 설명한 그림이다. 고도에 따라 온도와 물의 어는점이 달라 형성되는 액체방울의 성분이 달라지고, 그 결과 각기 다른 성분의 액체가 각기 다른 번개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NASA 제공 이런 추정은 ... ...
[프리미엄 리포트]SNS에서 뜨거운 MBTI 얼마나 믿어야할까
과학동아
l
2020.08.08
바탕으로 다양한 것들을 특징에 따라 분류해내는 능력이다. 현상을 분석하고 그 안의
원리
를 찾아내는 연구 분야에서 일할 때 이런 장점을 살리기 쉽다. 김 부장은 “과학기자로서 분석 기사를 쓸 때도 이런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물론 다른 성격유형도 각자의 장점을 살려 과학기자 ... ...
심부전 유발하는 심장 비대증 원인과 치료법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질병에서 유전자 변형과 질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는 보편적인 작동
원리
를 규명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지성욱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 고려대 제공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다가오는 빛의 파장은 짧아지고 멀어지는 빛의 파장은 길어진다. 스피드 건은 이
원리
를 이용해 물체의 속도를 잰다. 별빛의 도플러 효과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이용해 별의 운동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시리우스가 지구와 시리우스를 연결한 직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우리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
2020.07.25
이후보다 언제 튀어나올지 모르는 이전의 상태가 더 심장쫄깃하게 느껴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
다. 또는 건강에 이상을 느끼고 나서 정말 큰 이상이 있으면 어떡하냐며 차라리 모르는 게 낫다고 병원에 가지 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은 정확한 검사 결과를 알기 전까지의 불확실성을 견디는 괴로움 ... ...
코로나19 백신 등장 앞두고 공급 방식·가격 갈등 씨앗으로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바이러스 단백질조각(항원)을 만들고, 인체 면역체계가 이 항원에 대항해 항체를 만드는
원리
다. 화이자와 바이오앤테크는 3월부터 이 백신을 개발 중이고 현재 임상 1,2상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안에 3만 명을 대상으로 임상3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논란의 모더나…타 기업 특허 기술도 사용해 ... ...
[과학게시판] AI 출입국관리시스템 실증랩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을 고려해 집에서 보고 듣고 만들어 보면서 과학
원리
를 배울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언스데이로 진행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뉴딜 사업 일환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축적해 온 논문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과학기술 ... ...
파스처럼 붙이면 걸을 때 힘 보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수축해 전기를 통해 근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저주파 자극기나 물리치료기 등이 이러한
원리
를 이용한다. 다만 기존 전기자극 제품들은 작동 시간과 패턴 등이 미리 지정된 대로만 작동해 사용자 의도에 따라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근육 신호에서 움직이고자 하는 의도를 알아낸 후 5~35mA의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암세포에서 자라면 기존 항암제가 이를 인식하고 암세포만 공격해 없애게 하는
원리
다. 항암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가 사멸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가 항암 바이러스에 감염돼있는 덕분에 기존 항암제가 이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어 치료 효과는 배가 된다. 한 예로 2018년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미국 ... ...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의 희망 '인공망막 장치' 성능 끌어올릴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신경절 세포가 살아남기 때문에 안구내 마이크로 전극을 이식해 전기 자극을 가하는
원리
다. 그러나 인공 망막 장치를 이식받은 환자마다 성능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그동안 원인을 규명하지 못했다. 인공 망막 장치는 반복적인 전기 자극으로 인공 시각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