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스페셜
"
영역
"(으)로 총 878건 검색되었습니다.
윤석진 KIST 신임원장 “줄세우기식 평가 없애고 10년내 세계적 연구팀 10개 육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개선 방안은 내년 2월말까지 확정하고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지의
영역
, 답이 없는 연구, 세계 최초 시도 연구 등을 수행하는 ‘그랜드 챌린지’를 도입하고 도전적 실패를 성실도전으로 인정하고 포상하겠다”며 “이같은 과감한 개혁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팀을 203 ... ...
표준연,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신물질 자성 원리 밝혀
연합뉴스
l
2020.10.22
일어난다. 문창연 책임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 펨토(1천조분의 1)초
영역
의 매우 짧은 시간대에서 일어나는 스핀 요동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대전=연합뉴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첨단측정장비연구소 문창연 책임연구원이 신물질로 주목받는 훈트금속에서 자성이 ... ...
코로나19 감염력 무증상·경증 10일 중증 20일 간다…전세계 논문 77편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모두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배출 정도를 평가했다. PCR은 특정
영역
의 DNA를 수시간에 20만~50만배로 증폭시켜 검출하는 검사법이다. 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는 꽤 오랜 기간 동안 바이러스 전파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별이 있어서 강력한 자외선을 쪼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카리나 성운의 별 탄생
영역
인 NGC 3324을 촬영한 허블우주망원경 영상이다. 태어난 무거운 별들이 강한 자외선 빛을 비추면서 분자구름을 깎아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분자구름의 산소동위원소 분포를 변화시킨다. 흰 가로선 축척은 5광년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한국 연구팀이 주도한 논문 중 하나의 그림 일부다. 역시 그림 일부분이 복사돼 다른
영역
에 붙어 있다. 펍피어 사이트 캡쳐 아직은 제보가 나온 상황으로 구체적인 조작 여부는 향후 학술지나 기관의 조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명과학 연구현장에서는 무수히 많은 실험이 이뤄지며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발전의 맥락에서 보자면 다윈의 진화론은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원리가 생물학의
영역
으로 확장된 것과도 같다. 코페르니쿠스의 원리란 일종의 민주주의적 원리로서 지구가 더 이상 우주의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는 원리이다. 만약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면 지구는 우주에서 대단히 특별한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알 수 있다. 진한 녹색으로 표시한 S라는 표시
영역
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RNA
영역
이며, 여기에 솟은 피크가 614번 아미노산 변이다(가운데). 아래는 D와 G614 변이를 계통별로 비교한 계통도다(아래). 넥스트스트레인 화면 캡쳐 ●다양한 증상, 중증 이상 환자는 적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비율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
2020.10.14
수상자를 ‘노벨상 후보자’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뜻이다. 우리가 노벨상의
영역
인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를 시작한 것은 불과 20여 년 전이었다. 1998년에 우리의 국가연구개발 예산은 2조 7천억 원이었다. 그마저도 대부분은 경제 성장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위한 예산이었다. 실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사람에서는 인터페론을 활성화해 염증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반면 박테리아에서는 TIR
영역
이 활성화돼 NAD+라는 생체분자를 분해한다. NAD+는 박테리아 대사에 꼭 필요한 분자이기 때문에 이게 분해돼 고갈되면 박테리아의 성장이 멈추고 결국 죽는다. 그 결과 감염한 파지는 더이상 증식하지 못한다 ... ...
월성1호기 조기 폐쇄·원안위원 중립성 논란(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너무 허술하다”고 지적했다. 엄재식 위원장은 “예산의 집행과 계획은 한수원의
영역
”이라며 한수원에 공을 돌렸지만 전 의원은 “원안위가 의결까지 한 사안인데 한수원에서 결과보고서를 받아서 가지고 있어야 한다”며 관리 태만을 질책했다. ●원안위 위원, 정치적 중립 위반 논란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