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스페셜
"
단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염재생산지수 '주춤' 그래도 억제 안하면 2주 뒤 하루 확진자 700명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7
발생한다고 분석했고 23~29일에는 매일 872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단
연구팀은 아직까지 국내 코로나19 백신의 2차 접종 횟수는 100명당 0.1명 수준으로 그 효과가 미미해 예측치에 백신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은옥 교수팀은 16일 기준 전국 R값인 1.18을 향후 2주 동안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래 반도체 물질 ‘강유전체’ 구조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7
현상의 특성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표지에 실었다. 연구팀은 테라헤르츠 복사 형태의 극초
단
파 전기장 펄스를 활용해 강유전체 필름에서 소용돌이 운동을 만든 뒤 펨토초(1000조분의 1초) X선을 이용해 소용돌이 운동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강유전체에서는 자석에서 발견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 쉬는 법
2021.04.17
컴퓨터로 치면 악성 코드 같이 그렇게 크지 않은 우리 뇌의 메모리를 잔뜩 잡아먹는다는
단
점이 있다. 하지만 양질의 수면을 취하고 나면 부정적 정서나 스트레스 반응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③ 운동, 자연 경관 픽사베이 제공 10분 정도의 가벼운 운동도 현재의 스트레스를 ... ...
얀센 백신 접종후 혈전 반응 전조 증상 '두통'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중 심각한 혈전이 발생한 사례 6건을 검토하고 있다며 미국 내에서 얀센 백신 접종을 중
단
했다. 현재 혈전 발생 환자 6명은 모두 18~48세 여성으로 이 중 1명이 목숨을 잃었고 3명은 입원, 2명은 퇴원했다 ... ...
블루오리진 15번째 시험비행 성공…다음 번 사람 태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시험비행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블루오리진 관계자는 “사람을 태우고 하는 발사 전 핵심
단
계”라며 “딱 정해졌다고 말할 순 없지만 다음 16번째 발사에서 실제 사람을 태우고 시험 비행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다음 시험비행이 언제인지 구체적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발사되고 있는 ... ...
'로켓 잔해일까, 소행성 잔해일까' 헷갈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저궤도 인공위성에 1200마일(약 1931km)까지 다가가 충돌 위협을 가하기도 했다. 조나
단
맥도웰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 박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소행성 2021 GW4가 12일 지구에서 1만9833km로 지구에 매우 가까이 스쳐 지나갔다”며 “소행성에서 가장 가까운 우주 물체는 2000km ... ...
정은경 "선제 검사 늘리고 항체치료제 적극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발생 문제로 보류했던 60세 미만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12일부터 재개했다.
단
30세 미만에 대해서는 접종하지 않기로 했다. 정 청장은 이날 "2분기 접종 대상자 중에 약 64만 명이 접종이 보류된 상황이기 때문에 그 물량만큼을 다른 대상자로 전환해서 접종을 시행할 예정"이라며 ... ...
정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2일부터 접종 재개”…30세 미만은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했다.
단
30세 미만은 접종 대상에서 제외했다.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
단
장(질병관리청장)이 11일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온라인 브리핑 ... ...
[우주산업 리포트] 아크인베스트먼트 우주탐사 및 혁신 ETF를 아십니까
2021.04.09
하는 이름도 보인다. 아크인베스트먼트의 큰 그림이 무엇인지는 쉽게 알는 수 없다.
단
하나 확실한 것은 우주의 상업적 개발은 이미 시작됐고,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촉매제가 되어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삶과 우주의 접점은 앞으로 계속 넓어질 것이다. 1990년대 글과 사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스타 과학자의 장례식과 과학의 진보
2021.04.08
수 있는 통찰을 폄하한다. 과학은 점점 더 복잡한 문제들을 푸는데에만 정신이 팔려,
단
순한 문제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레밍의 항생제 발견은 지금 같으면 출판조차 불가능할 것이다. 게다가 과학계는 남성에 편향되어 있다. 다음을 기억하는 게 좋다. 과학은 물론 차가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