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5,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2023.01.27
-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성질체 선택적 합성으로 신약 개발 속도 '업'동아사이언스 l2023.01.22
- 화학반응 중 짧은 순간에만 존재해 화학 공정에 그간 활용되지 않았다. 가르그 교수는 "전통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도전함으로써 사이클릭 알렌을 이용해 리소덴도르산 A 같은 복잡한 분자를 만들 수 있게 됐다"며 "많은 이들이 이를 활용해 새로운 약을 개발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대규모 핀란드인 유전자 분석...질병 원인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23.01.21
- 원인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조합"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팔로티 교수는 “핀란드인의 유전자 구성 특징은 훨씬 광범위한 범위의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1.20
- 지난달 30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준영 건국대 수의과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각막 재건을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의 점착성 실란트’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점착성 실란트 적용 후 가시광을 3분 쬐는 것만으로도 잃어버린 조직을 재건할 수 있다. 기존 ...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1.19
- KAIST 교수.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메모리는 음의 정전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2023.01.18
- 문·이과 구분을 철폐해야 한다는 뜻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9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2023.01.17
-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무, 행성의 베일을 벗길 열쇠 동아사이언스 l2023.01.15
- 위성인 타이탄에 존재하는 유기 연무를 만드는 성분들이다. 사라 호스트 존스홉킨스대 교수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무를 생성해 지구와 비슷한 조건의 행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일부 연무가 빛을 반사해 행성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연무는 표면에 자외선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퇴적물 흐름, 입자 형태에 달렸다동아사이언스 l2023.01.14
- 입자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이 과제다. 에릭 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대기및행성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11일 네이처에 입자의 형태가 퇴적물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전의 퇴적물 흐름 분석모델들이 입자의 크기에 집중했다면 이번 연구는 형태에 집중했다. ... ...
- [과기원은 지금] 대한면역학회장에 전창덕 GIST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3.01.12
- GIST) 생명과학부 교수. 대한면역학회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전창덕 생명과학부 교수가 제41대 대한면역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0일 밝혔다. 대한면역학회는 1974년 창립한 국내 면역학 분야 최대 학회다. 전 회장은 경북대학교에서 생물학 석사, 면역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