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전자빔을 형광판이나 사진필름으로 검출해 이미지를 만드는 방식의 현미경이다. 보통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불린다. 파장이 짧은 덕에 더 작은 시료까지도 - 개별 원자의 위치까지 - 관찰할 수 있지만 X선 결정법이나 NMR 보다 뒤늦게 주목받았다. 1930년대 처음 전자현미경이 개발됐을 때, ... ...
상처나 찢어진 피부, 빛으로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8
흡수하면 콜라겐이 잘 붙도록 유도하는 성질을 가진 염료제인 로즈벵갈(rose bengal)과 피부
투과
도가 높은 히알루론산을 섞어 복합물질을 만들었다. 한 교수는 “피부에 이 복합물질를 바르고 근적외선을 쬐면, 그 속에 상향변환 나노입자에서 녹색파장의 빛이 나오고 이것이 염료제를 자극해 ... ...
초고속 수소 가스 검출 센서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이보다 운동 지름이 큰 가스 입자는 거르고 운동 지름이 0.289㎚인 수소만 선택적으로
투과
한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초고속 센서는 수소 가스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학술이 ‘ACS 나노’ 9월호 표지 논문에 선정됐다. ...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데 성공해 재료분야 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9월 19일자에 발표했다.
투과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이현욱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는 리튬-황 배터리 내부를, 장재혁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 선임연구원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내부 반응 과정을 ... ...
방사선 막는 ‘초경량 미래 우주복’ 등 첨단소재 연구 활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CFRP)’의 특성을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단위에서 관찰할 수 있는 고성능
투과
전자현미경(TEM) 장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완주=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한편 연구자들은 상용화 단계로 넘어간 대표적인 복합소재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을 꼽았다. CFRP는 나노미터(㎚·1㎚는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채운 구조다. 반면, SNS는 두께 20m의 콘크리트 차벽 안에 담겼다. 중성미자 외 다른 입자가
투과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크기의 이 작은 탐지기로 43년 만에 이론으로만 제기돼 왔던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결맞음 상호작용은 파동 ... ...
한 번 뜨면 2주 이상 비행하는 성층권 드론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물질을 원자 단위까지 측정할 수 있는 ‘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리튬황전지의 충·방전 과정을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해 7월 27일자 미국화학회지(JACS)에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KAIST 김도경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리튬황전지의 수명을 늘리는 실험에 ... ...
산화물 원자 구조 바뀌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25
“재료의 원자 구조 변화와 그 물질의 성질에 대한 상관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투과
전자현미경 분석기술 개발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KBSI와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가 공동 진행했으며 학술지 ‘ACS나노’ 7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주변 전자파 잡아내 전기로 바꿔 스마트폰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유기 반도체 나노섬유를 개발하고 있다. DGIST 이성원 교수 연구팀은 땀과 산소를 잘
투과
해 몸에 간편하게 붙일 수 있는 전자피부 소재를 개발했다. 이들 기기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효용을 높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 ...
땀이 차도 불편 없는 숨쉬는 전자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플라스틱이나 고무 기판을 사용한 기존 전자피부와 달리 산소와 땀, 체액 등을
투과
시킨다. 오래 몸에 붙이고 사용해도 염증이나 불편을 일으키지 않는다. 연구팀은 기존의 2차원 평면 방식 기판이 아닌 1차원 나노섬유를 이용한 기판을 제작했다. 물에 잘 녹는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PVA)을 금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