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컬럼
칼람
기고란
column
기고
뉴스
"
칼럼
"(으)로 총 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개도 TV 볼 수 있을까요?
2015.09.04
롱아일랜드 동물병원 박사는 병원 홈페이지에 올린 ‘내 개는 TV를 볼 수 있을까?’라는
칼럼
에서 “120프레임 TV가 출시된 만큼 여기에 적합한 영상이 제작된다면 개도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와 함께 대표적인 반려동물인 고양이를 위한 전용 방송은 아직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06.29
중 야구팀은 팟캐스트 ‘트루볼쇼’를 진행하고 세이버 메트릭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칼럼
을 쓴다. bizball.info@gmail.com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7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정확한 원전 보도, "균형잡힌 시각과 '데이터'가 핵심"
과학동아
l
2015.06.11
아사히신문 편집위원은 후쿠시마의 최근 상황을 전했다. 후쿠시마 현에 드나들며 꾸준히
칼럼
을 기고하고 있는 우에다 위원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대규모 방사능 피해 역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전례 없는 광범위한 연구로, 후쿠시마 사태와 후속 연구는 이제 제2의 국면에 들어섰다”고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과학기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2015.06.05
게 말이나 된단 말인가.’ 2003년 9월 16일 LA타임스에는 메스텔 편집장의 고백과도 같은
칼럼
이 실렸다.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왼쪽 신장이 없었다는 사실을 43년 만에 알게 된 그는 주변 사람들 몇 명을 약식 취재한 결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해부학적으로 불완전한 신체를 갖고 태어나는지 새삼 ... ...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
과학동아
l
2015.05.28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에 심리학
칼럼
을 연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imaum0217@naver.com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6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
2015.04.26
책을 새롭게 저술했다. 저자는 자기계발 강연, 창의력
칼럼
과 저술 활동을 하는
칼럼
니스트로 고려대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KAIST 수학과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은 수학 전문가다. 삼성전자 중앙연구소, 인터넷 벤처창업을 거쳐 PSI 컨설팅에서 창의력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다. 책을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5.03.31
운세 보기가 통계와 확률이라는 말이 종종 들립니다. 심지어는 어떤 언론사 논설위원이
칼럼
에 다음과 같이 쓴 것도 봤습니다. “사주는 통계학의 모태다. 컴퓨터가 동원되는 첨단 통계보다 표본자료가 방대하다. 수천 년 동안 바통을 이어온 인간들의 삶의 궤적을 데이터베이스화했다. 확률이 ... ...
류현진, 네 탓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5.03.26
있다. 그 중 야구팀은 팟캐스트 ‘트루볼쇼’와 세이버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칼럼
을 쓴다. bizball.info@gmail.com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4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
과학동아
l
2015.01.27
전 트위터에서 의학
칼럼
니스트를 자칭하는 분이 올린 글을 읽었습니다. 상식에 어긋나는 내용이었지요.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서 팔로우를 하고 올라오는 글을 계속 보고 있습니다. 꾸준하게 상식과 어긋나는 글을 올리더군요. 작년에는 책도 출간했습니다. ‘병원에 가지 말아야 할 81가지 ... ...
IS 대원이 되고 싶은 김 군의 뇌 구조는?
2015.01.23
교수는 전두엽의 ‘리모델링’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김 교수가 본지에 썼던
칼럼
의 일부를 보겠습니다. 뇌의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신경망의 발달은 유아기에 거의 끝난다고 알려져 왔지만 이는 결코 사실이 아니다. 뇌의 발달은 사춘기에도 왕성하게 일어나며 신경망은 끊임없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