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음파"(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종 과학자, 中 명문대 교수로 채용됐다동아사이언스 l2013.10.01
- 안 교수는 고려대에서 학부를 마치고, KAIST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레이저나 초음파를 이용해 건축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내부 손상을 연구하는 ‘비파괴 검사’ 분야 전문가로, 그간 10여 편의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고 4건의 특허를 획득했다. 또 크고 작은 ... ...
- 갑자기 말 더듬는 어머니?… 치매 전조증상일지 모릅니다동아일보 l2013.09.16
- 자세를 바꿨을 때 기침이 완화됐다면 심부전증일 확률이 높다. 흉부 X선 검사와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자. (도움말=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종성 교수, 심장내과 이종영 교수)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靑, 혼외의혹 母子 개인정보 어떻게 얻었을까 - ... ...
- [토요뒷談]로봇 물고기를 기억하시나요동아일보 l2013.09.01
- GPS) 기반 위치 인식 시스템과 전파통신 기능을 갖췄고 수질 감지 센서와 초음파 장애물 감지 센서도 구현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대강에 투입하기 위한 목적은 결코 아니다”라며 조심스러워했다. 연구원은 ‘4대강용’이란 시선을 피하기 위해 프로젝트 이름에서 ‘생태 ... ...
- 갑상샘 호르몬은 ‘중용’이 최고동아일보 l2013.08.12
-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밖에도 갑상샘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결절(종양)이 있다. 최근 초음파 기술이 발달하고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갑상샘 결절은 매우 흔한 질환이 됐다. 그만큼 쉽게 발견한다는 뜻이다. 보통 결절의 5%가 악성인 암으로 판명 난다. 목소리가 갑자기 쉰 소리로 변했거나 ... ...
- 내 유전자 정보, 언제쯤 쉽게 알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7.19
- 바이오연구소 김태형 본부장은 “NGS 기술을 바탕으로 유전체를 빠르게 절편하는 초음파 기술과 염기 서열을 빠르게 읽어 내는 초고해상도 카메라, 이를 빠르게 분석하는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저렴해졌다”며 “현재 약 2000만 원이 필요한 분석 비용이 내년 중반 이후면 200만~300만 원대로 ... ...
- 세계 5대 희귀 동물 ‘분홍돌고래’ 포착동아닷컴 l2013.06.27
- 알려진 이 분홍돌고래는 무게 133kg에 몸길이가 2.7m까지 성장하며 시력이 나빠 초음파로 먹이 사냥을 한다. 분홍돌고래 외 자인언트 판다, 난쟁이하마, 봉고, 오카피가 세계 5대 희귀 동물로 알려져 있다. 사진 l 데일리메일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화제의 뉴스] - 똥말을 사랑한 여자…영화 속의 김태희? ... ...
- 동물과 通하였느냐어린이과학동아 l2013.05.29
- 장치를 말한다. 컴퓨터가 SSVEP를 입력받으면 ‘트랜스듀서’에서 초음파가 발생한다. 초음파는 물로 된 길을 지나 쥐 뇌의 시상에 도달한다. 그러면 쥐는 꼬리를 움직인다. 사람의 뇌파가 언어로 쓰인 셈이다.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민병경 교수는 “아직 사람 뇌에서 발생한 단일한 신호를 쥐에게 ... ...
- 지구온난화 주범 ‘체' 하나만 있으면 OUT!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이번에 개발한 제올라이트 속에는 주사위 모양과 납작한 모양의 구멍이 섞여 있는데, 초음파를 쏴 납작한 모양만 선택적으로 쌓아올릴 수 있었다. 최 교수는 “질소는 이 분리막의 구멍과 크기가 비슷해 잘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크기가 작더라도 이 분리막이 밀어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만을 ... ...
- 로봇청소기 10년… 노인돌보미-가정 보안관 역할까지 빨아들인다동아일보 l2013.04.30
- 년 동안 로봇청소기만 개발해왔다. 그는 “이 3kg짜리 로봇청소기에 최첨단 소프트웨어와 초음파인식 센서, 저소음의 AC모터와 고출력 DC모터의 장점을 결합해 만든 BLDC모터, 리튬폴리머 배터리 등 최신 기술이 집약돼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2005년 출시한 ‘로보킹 2세대’는 사실상 ... ...
- 가습기가 ‘신소재’ 낳는 거위 됐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초음파 가습기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다시 태어났다. 국내 연구진이 가정용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해 배터리 소자로 쓸 수 있는 ‘노른자-껍질’ 구조의 신소재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건국대 강윤찬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가습기의 물방울 발생장치를 이용해 수 초 만에 신소재를 ... ...
이전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