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면서 "이번 논문은 아스테리아 미션의 동기가 된 개념, 즉 소형 우주선도 천체물리학과
천문학
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NASA의 천체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인 '테스'(TESS)의 모든 능력을 큐브샛에 담아내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대형 ... ...
"태양, 은하충돌로 태어났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이 과정에서 탄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결과를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에 이달 25일 공개했다.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 질량의 1만 분의 1 정도로 작은 소형 위성은하다.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7만 년 정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다. 약 70억~80억 년 전 부터 ... ...
초대질량블랙홀 뿜어내는 강력한 불꽃으로 먼 우주 거리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주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는 천체까지 거리를 알아내는 것이다.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해당 논문은 영국 왕립
천문학
회지 4월호에 소개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
약 520광년 밖 젊은 별 주변서 행성 형성 첫 직접 증거 포착
연합뉴스
l
2020.05.21
배열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집합체'(ALMA)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됐다.
천문학
자들은 당시 ALMA 이미지에서 별 주변의 원반 안쪽에서 두 개의 나선팔을 찾아냈다. 보칼레티 박사 연구팀은 VLT 스피어 이미지를 통해 두 개의 나선팔 존재를 확인하는데 더해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까지 ... ...
‘빛 바랜 신화’ 한미약품 '5년간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20
뒤 기술에 대한 권리와 상용화 판권을 다른 기업에 파는 것이다. 기술을 구매한 기업은
천문학
적인 비용이 투입되는 글로벌 임상시험을 수년간 공동으로 진행하며 상용화를 추진한다. 기술 수출 기업은 계약금과 임상 단계별 로열티를 받는 방식이다. 하지만 대형 제약사들조차도 수천억원의 ... ...
코로나19에 걸리면 비용손실 얼마나…1인당 최소 4천400만원
연합뉴스
l
2020.05.18
수십명 만들 수 있어 경제손실 커져…영업중단·등교연기로 파생된 손실포함하면 '
천문학
적 "경제적 타격 이미 상당할 듯…확진자 추가 발생 가볍게 생각해선 안 돼" [장현경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리면 환자 1명당 최소 4천400만원의 질병비용이 ... ...
목성 위성 유로파 '물 분출' 증거 더 나왔다..."지하 바다에서 나왔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데이터를 분석해 이 지역에 갑작스러운 자기장 변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천문학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것이 플룸의 간접 증거라고 주장했다. 크룹 연구원팀은 다시 2년 만에 간접 증거를 추가했다. 연구팀은 갈리레오의 입자 관측기인 고에너지입자검출기(EPD) 자료를 재분석하다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수리를 위해 우주인 7명을 태우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했다. 이후에도 NASA는
천문학
적인 비용과 노력으로 허블우주망원경을 보수하며 운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주왕복선만 1993년, 1997년, 1999년, 2002년, 2009년 등 다섯 차례 보냈고, 여기에 투입된 우주인만 30명이 넘는다. 우주인이 ... ...
가장 가까운 블랙홀 '쌍성계' 숨어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7
알려져 있던 ‘HR6819’에서 블랙홀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6일 국제학술지 ‘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했다. HR6819는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망원경자리에 위치한 두 밝은 별로 이뤄진 쌍성계다. 지구에선 하나의 별처럼 보이며 5.4등성의 밝기를 가져 육안으로도 볼 수 있다. 연구팀은 ... ...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05.05
등 공동연구팀이 오무아무아의 형성 과정을 밝힌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 4월 13일자에 발표했다. 공동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오무아무아가 인근 항성의 조력(tidal force)에 의해 천체가 찢겨져 생성됐을 가능성을 확인했다. 수 km 크기의 장주기 혜성이나 행성 등이 백색왜성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