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뉴스
"
제작
"(으)로 총 5,06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하게 규명한 지도를
제작
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2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인간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베이스히트(BASEHIT)'를 ... ...
2030년 달에서 우주비행사가 타고 달릴 차량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NASA)이 유인 달 탐사 미션 '아르테미스'에서 사용될 달 탐사 차량(LTV·Lunar Terrin Vehicle)
제작
사 후보 기업 3곳을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은 2030년까지 46억달러(약 6조2215억원) 규모의 지원을 받아 달 탐사용 차량을 개발하게 된다. 3일(현지시간) NASA는 LTV를 개발하기 위한 후보 기업으로 인튜이티브 ... ...
눈물로 '혈당' 측정…혈액 측정기와 오차 거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낮다. 연구팀은 눈물 속 당과 혈당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제작
해 시험을 시행했다. 연구진이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착용 후 혈당을 재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당을 측정하는 고감도 센서를 적용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휴대기기로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무선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기업 반도체 설계 및
제작
돕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진이 기업을 도와 반도체칩 설계 키트 제공과 칩
제작
을 도울 예정이어서 관련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GaN 반도체는 차세대 반도체 핵심 소재·소자로 스텔스기의 에이사(AESA) 레이더, 6G 통신에 사용되는 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음악이 감정을 강렬하게 자극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527명의 연구참가자를 모집해 예측이 가능한 화음 진행으로 이뤄진 음악과 연구팀이
제작
한 불확실성과 놀라움을 변형시킨 92개의 화음 진행 중 8개를 무작위로 들려줬다. 각 화음 진행을 들을 때 몸의 어떤 부위에서 감각을 느꼈는지 각 음악을 듣고 10초 이내에 연구팀이 제공한 신체 지도에 ... ...
'비건 가죽' 스스로 염색하는 박테리아…독한 화학공정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같은 식물성 섬유 제조 방식은 친환경 섬유
제작
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테리아 염색을 활용한 섬유는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한 가죽 대체품과는 달리 자연 환경에서 안전하고 독성이 없는 생분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향후 ... ...
차세대 수전해 효율 높인 고체산화물전지 스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5.7kg의 수소를 생산해 국내 최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증명했다. 순수한 국산 스택 설계와
제작
기술이 적용돼 수소 기술 자립과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유지행 연구원은 "국내 대부분의 SOEC 관련 기업이 해외 기술을 도입하는 상황에서 국산 기술을 활용한 고효율 스택 개발은 국내 기술의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식물인 니코티아나 벤타미아나에서 하나의 융합단백질로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
한 구제역 바이러스 진단 항체는 기존 동물 세포 기반 진단 항체보다 100배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경제성 있는 진단 항체 단백질 생산기술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연구팀은 “기존 항체와 ... ...
스스로 전기 만들어 세포 배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기구)’의 합성어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CNT)를 꼬아서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을
제작
하고 여기에 친수성 폴리도파민(PDA)을 코팅해 에너지 생성 효과를 높였다. 이어 CNT 시트에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을 코팅해 세포 접착에 적합한 친수성 표면과 전기 저항성이 ... ...
금속·유기 골격체 기반 전자파 흡수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최적의 열처리 과정으로 MOF를 제조한 후 폴리우레탄 소재와 혼합해 전자파 흡수 소재를
제작
했다. 개발한 전자파 흡수 소재는 주파수 10GHz, 두께 1.9밀리미터(㎜)에서 100%에 가까운 높은 전자파 흡수성능을 보였다. 특히 더 얇은 두께인 0.9밀리미터(㎜)에서는 7.23 기가헤르츠(GHz)에 이르는 광대역의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