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뉴스
"
작고
"(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진관] 눈을 제대로 떠보면 온 세상이 화원이란 걸 알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만드는 시냅스는 각각의 신경세포들을 연결시켜 신경전달을 일으킨다. 시냅스는 크기가
작고
수가 매우 많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려면 특별한 표지 방법이 필요하다. 위 작품은 시냅스가 연결하는 신경세포들과 시냅스를 동시에 표지할 수 있는 엠그래스프mGRASP 기술을 이용해 자폐증과 ... ...
투명망토에 한걸음 더...'거울 대칭' 금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9
연구원팀은 실제 생체분자를 일종의 ‘가이드’로 이용하는 방법을 떠올렸다. 먼저
작고
균일한 주사위 모양을 지니는 ‘씨앗’ 금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그 뒤 물에 금 이온을 녹이고, 씨앗 나노입자와 함께 실제 아미노산과 단백질 조각(펩타이드)를 넣었다. 금 입자는 마치 눈사람이 커지듯 점점 ... ...
금강에 사는 민물고기 ‘종어’에 사례금 30만원 걸린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알려져 있다. 황형규 중앙내수면연구소장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방류한 종어보다
작고
어린 종어가 발견됐다는 것은 자연 상태에서 재생산이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금강에서 종어 자원회복이 빠른 시간 내에 이뤄질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
2018.04.14
Kille은 칭찬을 추상적인 레벨에서 나라는 사람 전반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이기보다 나의
작고
구체적인 행동에 한정시켜 받아들일 때, 칭찬을 더 수월하게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전반적 속성에 대한 칭찬일수록 더 부담스러운 것과 같은 이치다. 누군가 칭찬을 할 때 지금 저 사람이 나의 인간 ... ...
[출동! 기자단]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3
로봇 팔의 모습을 보며 감탄했답니다. “이번에 개발한 로봇 팔의 핵심은 부피가
작고
가벼우면서도 물건을 집을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다는 거예요! 그 비밀은 종이접기 기술에 있어요.” 최근 드론은 로봇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어요. 여기에 팔을 매달면 더욱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 ...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개발했다. 이 센서는 배터리가 필요 없고,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해 기존 피부 센서보다
작고
얇다. 이 센서는 두께가 머리카락 5가닥을 합친 500㎛(마이크로미터)도 안 돼 피부에 붙이고 있어도 이물감이 없다. 따라서 피부에 강하게 접착할 수 있어 생체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18.03.31
SCIENCE 제공
작고
알록달록한 알사탕들이 커다란 구를 이루고 있다. 구 주변에는 번개가 치듯 불꽃이 튄다. 알사탕은 색깔에 따라 각각 개별 금속 원자를, 불꽃은 금속 원자들에 주어진 전기 충격을 나타낸다. 이번 주 사이언스지 표지는 전기적 충격으로 서로 다른 8개의 금속 원자가 균일하게 ... ...
척보면 딱 아는 벚꽃, 매화, 살구꽃 구별법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홈 없이 꽃잎 전체가 둥그런 모양이다. 살구꽃 역시 꽃잎이 둥그렇지만 매화에 비해
작고
얇아서 쭈글쭈글하게 약간의 주름이 져 있다. 조금 더 빠르게 정확히 구별하고 싶다면 꽃 뒷면의 꽃받침을 보면 된다. 우선 벚꽃의 꽃받침은 뾰족하고 가느다랗게 생겨서 마치 별 모양 같다. 살구꽃(왼쪽 ... ...
미세먼지 걷히니 황사, 안개까지 껴 가시거리 더 짧아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수mm(밀리미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크기가 큰 입자는 발원지와 주변 지역에 가라앉고,
작고
가벼운 입자들이 국내로 날아 들어온다. 국내에 영향을 주는 황사는 대부분 미세먼지와 같은 크기의 10μm 이하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이유로 국내 황사 경보 및 주의보 판정 기준은 미세먼지 농도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있다. 코발트가 이처럼 중요한 건 코발트이온의 전자배치가 독특해 이온의 크기가 아주
작고
(특히 리튬이온이 들어왔을 때인 Co3+에서) 안정된 층상구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피와 무게가 중요한 요소인 휴대전화나 노트북 배터리의 양극재로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쓰는 이유다. 현재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