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커지다 약 35km 높이에서 지름 6m까지 부풀어 터진다. 고도가 올라갈수록 주변 공기의
밀도
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라디오존데는 이후 지상으로 낙하하지만 별도로 추적하지 않는다. 일회용이다. 송태준 기상청 관측정책과 주무관은 “과학기구 하나를 발사하는 데 대략 20만 원에서 25만 원 정도가 ... ...
바이오제약사 '우주 러시' 이유 있다...우주의학 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신약 개발에 필수 과정이다. 지구에서는 중력에 따른
밀도
차이로 불균일한 결정이 생긴다. 반면 중력이 거의 '0'에 가까운 '미세중력' 환경의 우주공간에서는 고른 결정을 얻을 수 있다. 단백질 분석 전문가인 이영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세중력 ... ...
착한 콜레스테롤의 배신..."심혈관 질환 위험 높일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비흡연자, 비음주자, 중·고강도 운동을 하는 그룹에서 더 두드려졌다. 연구팀은 "저
밀도
(LDL) 콜레스테롤이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이 증가한 그룹에서도 관상동맥 질환 발생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며 "이미 높은 수준의 HDL 콜레스테롤이 더 높아지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오히려 커지는 ... ...
그린수소 생산 효율 3배...에기연, 수전해 기술 GS건설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연구팀이 개발한 분리막을 적용한 수전해 장치는 상용 수전해 장치에 비해 수소 생산
밀도
가 약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스정제기와 열교환기 등을 구성해 실제 상용 수전해 시스템에 가까운 평가 플랫폼도 만들었다. 개발한 기술과 플랫폼은 GS건설에 이전됐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 ...
100% 실리콘 전극 사용한 전고체전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의미다. 실리콘 웨이퍼는 부피당
밀도
가 가장 높은 구조로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
달성에 유리하다. 실제 연구팀은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전지보다 면적 용량이 약 2~3배로 큰 전고체전지를 구현했다. 상온에서 100회 안정적 충방전에도 성공했다. 임 교수는 “실리콘 웨이퍼 기반 전고체전지는 ... ...
타이어 만드는 섬유소재, 강도 높여 빠르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8
구조를 제어하는 기술에 주목했다. 용융상태에서 실 뭉치처럼 얽혀있는 고분자 사슬 간
밀도
와 간격을 적절하게 제어하면 방사공정에서의 용융 점도가 떨어져 방사장력이 낮아지고 방사장력이 낮아지면 연신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방사장력은 노즐에서 토출된 섬유가 고체화되는 동안 ... ...
완전자율주행 핵심 퍼즐 '안전성'...더 똑똑한 AI가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를 학습시키는 '딥러닝' 기술을 고도화한 ‘D2RL(고
밀도
심층 강화 학습)’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완전자율주행차의 학습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D2RL 기술의 ... ...
아들·딸 선택 인공수정 기술 나와...윤리 논란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염색체보다 무겁다. 연구팀은 가벼운 정자는 뜨고 무거운 정자는 가라앉게 하는 ‘다층
밀도
구배’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아들을 원하는 부부에게는 가벼운 정자를, 딸을 원하는 부부엔 무거운 정자로 수정하면 원하는 성별의 아기를 가질 수 있는 원리다. 연구팀은 실제 부부 105쌍을 대상으로 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완전 자율주행차를 꿈꾸는 '강화 AI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03.25
리우 미국 미시간대 앤아버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기존 딥러닝 기술을 강화한 ‘D2RL(고
밀도
심층 강화학습)’ 기술을 통해 AI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킨 연구 결과를 23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D2RL 기술의 특징은 기존 딥러닝과 달리 학습에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한다는 것이다. 안전사고에 직결되는 ... ...
리튬이온전지 대체, 폭발 위험 없는 레독스 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수 있는 분자 디자인 원리를 보였다"며 "향후 수계 레독스 흐름전지로 사용 시 고에너지
밀도
, 고용해도의 장점과 함께 중성의 수계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어 기존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산성용액 사용에서 오는 부식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M의 개발한 NDI 분자를 음극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