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뉴스
"
면적
"(으)로 총 1,4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바꾸면 헥타르당 수확량이 3톤에서 3.6톤으로 20% 더 늘어난다고 예상했다. 호주의 밀 재배
면적
은 1310만 헥타르로 800만 톤을 더 수확할 수 있다는 말이다. 녹병 저항성 유전자 실체 밝혀 남아프리카의 빵밀 품종인 카리에가의 잎은 맥류줄녹병에 저항성을 보인다(왼쪽). 반면 녹병균에 취약한 ... ...
[탄소중립 연속기고]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공감대, 탄소중립으로 잘 연결해야
2022.04.04
미세먼지는 국민을 불안에 떨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떠올랐다. 좁은
면적
의 한반도에 인구밀도가 높고 많은 산업시설이 집적화가 되어 있으며 1인당 에너지 사용량도 상당히 높아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산업화가 급격히 이뤄진 중국 등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 ...
[프리미엄 리포트] 산불이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2022.04.02
‘글로벌 생물학 변화’의 편집장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일부 지역에서 경작지
면적
에 대해 잘못된 통계 수치를 제시해 기후변화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했다”라고 말했다. doi: 10.1111/gcb.16021 연구자들이 경고하는 기후변화와 산불의 관계는 ‘위험도’에 있다. 기후변화가 대형 ... ...
[표지로 읽는 과학] 휴대전화 데이터로 빈곤층 찾아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2
위성 데이터를 사용해 가난한 지역들을 식별했다. 기계학습을 통해 위성 영상에서 산림
면적
과 지붕 재료의 밀도 등 빈곤과 상관관계가 있는 정보를 추출해 분석했다. 이후 연구팀은 가난한 지역에서도 하루 1.25달러 미만으로 생활할 가능성이 큰 이들을 휴대전화 데이터를 이용해 찾았다. 국제 전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공기로 빵을 만든 사람
2022.03.31
사례는 2차 대전 당시 미국에서 핵무기를 만들기 위해 진행했던 맨해튼 프로젝트이다. 표
면적
으로만 놓고 보면 하버와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과학자들, 예컨대 과학 분야 책임자였던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을까? 하버의 경우 그와 가장 가까운 사람이 과학자의 양심을 ... ...
남극서 로마시 넓이 빙붕 붕괴…전문가들 "남극의 미래 보여준 사례 씁쓸"
동아사이언스
l
2022.03.27
줄고 있던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초까지 느린 속도로 줄어들다가 지난 1월 이후 표
면적
의 절반 이상이 사라졌다. 워커 연구원은 “콩커 빙붕은 비교적 작지만 라르센 빙붕B가 무너졌던 2000년대 초 이후 남극 대륙을 통틀어 발생한 중요한 붕괴 사건으로 꼽힌다”며 “앞으로 일어날 미래를 보여주는 ... ...
촉감 느끼고 소리 듣는 인공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7
이런 원리를 센서에 적용했다. 인공피부 속에 달팽이관 기저막처럼 두께, 다공성,
면적
등이 다른 센서를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붙였다. 이를 통해 센서의 민감도를 최대 8배 향상 시켰다. 센서가 사람의 동작처럼 느리게 반복되는 저주파 신호와 빠르게 진동하는 소리, 촉감 같은 고주파 신호 등 145~9 ... ...
지난 겨울 북극바다 얼음 우리나라
면적
8배 가까이 줄어
연합뉴스
l
2022.03.23
육지에 둘러싸이지 않고 남빙양의 해류와 바람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며 얼음
면적
을 확산할 수 있는 지리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남극 해빙의 증가는 북극 바다에서 잃는 얼음을 상쇄할 만큼 많지는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남·북극 바다의 얼음은 지구 시스템에 중요한 ... ...
규모 커진 산불 재난 현장서 활약하는 스마트 소방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2.03.18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 2021년 한 해에만 2만 km2 한반도
면적
5분의 1 정도가 탄 것으로 집계됐다. 기상학자들은 이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반복해서 일어나는 가장 큰 이유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꼽는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산불 대응에서도 첨단기술로 ... ...
북극 바다밑서 6층 건물 규모 구멍 등 싱크홀 41개 발견…'느린 기후변화'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녹으면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동안 북극 해저 26㎢
면적
에 원격조종 수중 수심측정장치를 투입해 해저지형을 관측했다. 미국 몬터레이베이수족관연구소 제공 영구동토층이 녹으면 도로나 기차 선로, 건물, 공항 등 북극 기반 시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