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ck
입
목구멍
식도
아래턱
턱끝
턱뼈
어린이과학동아
"
턱
"(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반짝 자연에서 찾은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14
수원청개구리는 녹색의 보호색을 가지고 있어 눈을 크게 뜨고 봐도 잘 보이지 않아요. 이 개구리를 찾으려면 귀를 쫑긋 세워 보세요.
턱
밑에 있는 큰 울음주머니로 짝을 찾아 우렁차게 부르는 노래 소리가 들릴지도 모르니까요. {BIMG_c10} 가시연꽃과 개구리_강남구 개연으로 불리는 가시연꽃도 물 속에서 살고 있답니다. 늪지의 진흙 속에서 보석처 ...
훈련받는 바퀴벌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사진 하나하나를 보며 과학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세요(www.sciencemag.org/sciext/vis2007). 사진 부문 1등상(공동) 코 뒤에는 무엇이 있을까?
턱
밑에서 위 방향으로 코를 컴퓨터단층촬영(CT)한 모습이에요. 우주에서 날아온 외계인처럼 보이지 않나요? 홍콩 파멜라유드니더슬이스턴 병원의 과학자들이 찍었어요. 사진 부문 1 ...
남자같은 여자, 여자같은 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12
눈, 낮은 코를 갖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사춘기가 되면 몸 속에서 ‘성호르몬’이 나와요. 남자는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턱
이 발달하고 송충이처럼 털이 많은 눈썹을 갖게 되고, 여자는 여성호르몬 덕분에 얼굴과 목선이 한층 부드러워지지요. 남자는 모두가 넓은
턱
, 여자는 모두가 큰 눈인 건 아니지만 대부분의 남녀는 서로만의 특징을 ...
괴물동물원 비밀노트(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이러한 톱날 구조는 돈가스를 먹을 때 사용하는 칼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고기를 잘 썰게끔 도와 준다. 위
턱
에 29개씩 모두 5줄, 아래
턱
에는 30개씩 5줄의 이빨이 나 있어 모두 290여 개의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다. 상상해 보면 290개의 칼을 입 안에 주렁주렁 달고 있는 셈이다. 요 녀석의 입에 한번 들어가면 살아남지 못할 ...
켁! 기절시기는 게 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31
알려야 한다. 그리고 구조대가 오기 전에 반듯하게 눕히고 몸을 조이는 허리띠나 윗도리의 단추 등을 풀어 준다. 이 때 고개를 젖히듯
턱
을 들어 올려 기도를 열어 준다. 토할 경우에는 이물질이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옆으로 눕혀야 한다. 의식을 잃었을 때는 약을 강제로 먹이거나 손에서 피를 따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말아야 한다 ... ...
수컷이 암컷이 되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14
무르익었다. 그런데 이 때! “엄마야! 우선 괴로운 제 마음부터 좀 알아 주세요!” 갑자기 들려오는 닥터고글의 비명소리. 이런! 새끼
턱
수염도마뱀들이 닥터고글에게 반해 버린 것이다. 닥터고글의 인기는 정말 짱이야! 황당안 사건을 제보해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과학탐정 닥터고글이 과학적으로 풀어 주었으면 하는 사건을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28
2000년 미스코리아 서울 미 박시연(왼쪽)과 1989년도 미스코리아 선 고현정(오른쪽)의 사진을 비교해 보면 예전해 비해 이마는 길어지고
턱
은 작아졌다. 더 어려 보이는 얼굴을 선호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람들은 어떤 얼굴을 좋아할까? 우리는 어떤 사람을 흘깃 보기만 해도 그 얼굴이 호감이 가는지 가지 않는지 압니다. 보통 사진을 보여 준 ...
건강한 이로 미소천사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9
힘이 지금보다 훨씬 컸을 것이다. 이 힘은 윗니를 통해 광대뼈를 거쳐 다시 눈두덩으로 전해졌다. 그 결과 원시인의 얼굴에서는
턱
과 광대뼈, 눈두덩이 많이 발달해 튀어나오게 되었다. 미워진 이, 어떻게 할까? 내 이를 꼼꼼히 관찰한 결과 충치나 부정교합이라고 생각된다면 치과에 가서 검진을 받아 봐야해요. 치과 가기가 무섭다구요? 하지만 앞에서 알 ...
살아 숨쉬는 녹색의 도시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다양한 물고기들이 강을 찾아 생태계가 복원되고 다양해진다. 지난 10월 16일 서울 한강의 잠실대교 아래에도 새 어도(사진)가 생겼다.
턱
의 높이가 50cm나 되어 물고기가 지나갈 수 없었던 것을 10cm로 줄였다. 이 곳엔 시장님도 못 들어가요 체계적인 제도도 강을 보호하고 있어요. 강 주변을 4단계의 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답니다. 보호도가 가장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않아서 위협적이지도 않아. 심해에서는 먹을 것이 부족하기 때문에 번 잡은 먹이는 절대로 놓치면 안 돼. 따라서 심해물고기들은 큰
턱
과 날카로운 이빨을 갖게 됐어. 또 희미하나마 빛이 들어오는 곳에 사는 생물들은 몸을 빛나게 해 적의 눈에 띄지 않는 방법을 쓰지. 바다의 힘을 느끼다 바다의 힘을 느끼다 태평양을 지날 때는 날씨가 좋지 않았어. 수 ...
이전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