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피부"(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부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나노소자도 제작했다. 이 나노소자는 마치 반창고처럼 얇아 피부에 붙일 수 있고, 파킨슨병, 간질 등 운동 장애 질환의 발병 여부를 모니터링해 측정 결과를 저장하며, 약물을 투여해 치료까지 가능하다. 김 교수는 2011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행하는 ‘MIT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실존 기관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학계에서는 게르마늄이 면역력 증진과 통증 완화, 피부 및 운동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논문 속 주장에 확실한 근거가 없다고 지적한다. 03 스티븐 호킹 타계 “This was the Big Bang,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이것이 바로 빅뱅, 우주의 시작입니다).” 마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고생물학자들은 공룡의 색을 알 길이 없었다. 화석에는 거의 뼈만 남아 있기 때문이었다. 피부 화석이 발견된다고 해도 패턴이 찍혀 있을 뿐, 색은 남아 있지 않았다. 칙칙한 초록색이나 회색, 호피 무늬, 또는 분홍색에 하트 무늬가 있는 공룡을 그려도 우리는 할 말이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겁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카메라는 연어의 얼굴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연어의 피부가 바닷물이(sea lice)에 감염됐는지도 확인합니다. 바닷물이는 연어의 점액이나 피부, 피를 먹고 사는 기생충입니다. 바닷물이에 감염된 연어는 성장이 제한되고 다른 질병에도 걸리기 쉽습니다. 어린 연어가 물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 2018년 1월부터 시작된 수학자와 의사들의 의료수학 공동연구는 비뇨기과에서부터 피부과, 영상의학과 등 분야도 다양하다. 먼저 수학자들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의사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지 논의하는 ‘기술교류회’를 열었다. 수리연 수학자들은 기계학습과 컴퓨터단층촬영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프로젝트로, 2012년부터 시작해 약 1만 5천여 명이 참가했지요. 시민들이 대변과 구강 및 피부 조직을 채취해 보내면, 연구팀이 이를 분석한답니다. 연구 결과, 먹는 음식과 약, 생활습관 등에 따라 장내미생물이 다르게 나타났어요. 예를 들어 채소를 자주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단으로 사람을 물어버릴 수 있어요. 토끼는 단단한 이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리면 피부가 뚫리면서 피가 날 수도 있으니, 조심하세요. 또 토끼의 배가 하늘을 향하게 누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특히 의자에 앉아서 토끼와 교감할 때 토끼를 허벅지에 뉘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절대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권미정 씨는 “한 달에 1만 원 이상 꼬박꼬박 나가던 공용전기료 부담이 줄어든 것이 피부에 와 닿는다”고 말했다. 아파트는 지하주차장, 승강기, 복도나 계단 등에서 24시간 전기를 사용한다. 이런 공용전기 사용량은 아파트마다 차이가 있지만 통상 전체 전기 사용량의 20%를 차지한다. 세대별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마침내 2010년 기념비적인 임상 시험 결과를 얻었다. CTLA-4 항체를 투여 받은 흑색종(피부암의 일종) 말기 환자들의 20~25%가 완치된 것이다. 당시 말기 흑색종은 완치 가능성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연구자들조차 믿기 힘들 만큼 놀라운 결과였다. 이를 토대로 2011년 개발된 CTLA-4 항체 치료제(상표명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때 실제 화면은 6인치 스마트폰이 약 77.8% 더 크다.스마트폰 시청 거리까지 고려하면 피부에 더욱 와 닿는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시청 거리는 30cm 내외다. TV는 2m가량 된다. 비율로만 따지면 30cm 거리에서 4.5인치 화면을 보는 것과 2m 거리에서 30인치 TV를 보는 것은 비슷하다. 여기서 스마트폰 화면이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