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데도 성공했다. UC버클리의 잭 갈란트 교수팀은 사람이 영화를 볼 때 뇌의 변화를 fMRI로
포착
해 무슨 장면을 봤는지 실시간 동영상으로 재현했다. 흐릿하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75% 정도 일치했다. 앞으로 더 뛰어난 해상도를 가진 새로운 뇌 영상기기가 개발된다면 가까운 미래에 우리의 꿈을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난 유럽입자물리연구소에 있는 거대강입자가속기(LHC)야. 지금 힉스 입자의 흔적을
포착
하는 실험 중이란다. 힉스 입자는 모든 물질의 기본 입자라고 할 수 있지. 만약 존재가 밝혀지면 우주 탄생의 비밀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거야. 거대한 폭풍이 몰려 온다?태양 폭풍안녕? 난 빅뱅…이 아닌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으로 본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안테나 66개를 모두 설치할 계획이랍니다.알마는 가시광선보다 1,000배나 긴 파장의 빛을
포착
할 수 있어서, 우주에서 가장 멀고 온도가 낮은 영역까지 관측할 수 있어요. 처음으로 공개된 사진은 지구로부터 약 7,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까마귀자리의 ‘안테나 은하’ NGC4038과 NGC4039예요. 알마가 찍은 ... ...
블랙홀이 별 잡아먹는 순간
포착
!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0억 배나 더 무거운 거대질량 블랙홀이 별을 삼키며 강한 빛을 뿜어내는 모습을 처음으로
포착
해 화제예요.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포함된 국제 연구팀은 지난 3월, 미국항공우주국의 스위프트 위성을 이용해 39억 광년 떨어진 은하의 중심부가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이 천체에 ... ...
물고기도 도구를 사용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동물을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예요. 그런데 물고기가 도구를 사용하는 장면이
포착
돼 큰 화제가 되고 있어요. 호주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사는 검은점박이돔이 조개 껍데기 속에 든 먹이를 먹기 위해 조개를 입에 문 채 바위에 내려치는 행동을 한 거예요. 호주 매쿼리 대학교의 생태학자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물체가 천체로부터 우리에게 오는 빛을 끌어당겨 구부러뜨리는 바로 그 중력렌즈 현상을
포착
한 거야! 그렇다면 저기 어딘가에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빛을 끌어들일 정도로 강력한 중력을 가진 물체가 있다는 얘기? 우주를 채우고 있는 미지의 암흑물질우주에 있는 천체들의 질량은 얼마나 될까?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이용해 보는 것이 어떨까? 수화번역기는 장갑에 센서를 달아 수화의 움직임을
포착
해 소리나 문자로 바꿔 주는 기계다. 깊은 물속으로 들어 갈수록 햇빛이 닿지 않기 때문에 볼 수 있는 거리가 점점 줄어든다. 이 때 수화번역기를 이용해 수신호를 표시하면, 상대방이 보이지 않더라도 화면이나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8월 25일자에는 거대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이 태양만 한 별을 집어삼키는 장면을
포착
한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03년 쏘아 올린 ‘스위프트(Swift)’ 위성에 장착된 감마선 망원경이 처음 이 현상을 관측했다. 그런데 이 논문의 공동저자에는 우리나라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없어 깔끔하다. 적기에 가까이 가면 미사일이 눈을 뜬다. 탐색기가 작동하며 적기를
포착
, 추적한다. 엄청난 속도로 움직이면서 음속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적을 탐지,
포착
, 추적하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이를 위해 능동형 마이크로파탐색기를 개발했다. 수많은 항공기에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000배 빠른 시간(펨토초)까지
포착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3세대 때 사진 형태로만
포착
할 수 있었던 장면을 연속 동작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화학반응 과정까지 관찰할 수 있다.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가능성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김기정 빔라인부연구원은 “완성된 뒤 실제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