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혹시 당신은 디지털 과의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고민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고 말문을 여셨어요. 혹시 여러분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너무 오래 사용해서 잠을 충분히 못 자거나 손가락, 눈 아팠던 적 없나요? 디지털 기기를 너무 많이 사용해 일상이 방해받거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데도 자제하지 못하고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 우림, 75%가 복원력 잃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불린다. 그런데 머지않아 대부분 지역이 황폐화될 수도 있다.크리스 볼턴 영국 엑서터대 컴퓨터공학과 연구원팀은 아마존 열대 우림의 75% 이상이 복원력을 잃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 변화’ 3월 7일 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8-022-01287-8 연구팀은 1991년~2016년 사이 아마존 ... ...
- [가상인터뷰] 로봇 개발에 영감을 주는 개미 뗏목의 역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변화와 층 교대가 이뤄지는 과정을 약 2000개의 둥근 입자를 이용해 수치 모델을 만든 뒤,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입자들은 런닝머신과 같은 움직임을 통해 전체 구조를 지속해서 바꾼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래 모양을 유지하는 대신 전체 구조를 압축시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원래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해 연산하는 과정을 의미했는데, 훗날 수학뿐만 아니라 컴퓨터, 생명공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면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일컫는 말로 확장했습니다. 같은 문제라도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 속도나 결과에 차이가 생기므로 정확한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있진 않지만,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어요.어릴 때부터 무언가 만드는 것을 좋아했는데,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무궁무진한 것들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해요. 또 평소 스마트폰 앱을 다운받으면 ‘설정’에 들어가 기능들을 확인해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직접 앱을 만들어 보고 싶어요 ... ...
-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1가정 1최애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무게감 있고 굳건한 인상을 풍겨서 그렇게 불러왔어요”라 답하죠. 로지를 구현하는 컴퓨터그래픽에, 하이퍼클로바의 초대규모 AI를 입힌다면 완전한 가상인간 아이돌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네요. 모니터 너머로만 만나는 게 아쉽다면, BTS의 외형을 딴 휴머노이드 로봇에 BTS의 행동을 학습한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점프맵 만들기 3. 밟으면 아웃! 함정 발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법과 밟으면 플레이어가 죽는 함정 발판을 만드는 법을 알아볼게요. ※ 편집자주컴퓨터 게임부터 보드게임, 방 탈출 등 노는 것을 좋아하는 김미래 기자가 로블록스 코딩에 도전 합니다! 1년 동안 로블록스 코딩을 배우며 함께 폴리매스 방 탈출을 만들어 봅시다! 건드리면 사라지게! 규칙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있는 공립 연구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빅데이터 통계, 초정밀·초고속 과학, 초대형 컴퓨터 등 거대과학을 통해 성장하는 분야가 많습니다. CERN에서 WWW(World Wide Web)가 태어난 것도 우연은 아니죠. LHC 연구팀은 이론에 있어서 가장 앞서가는 집단입니다. 이 이론을 현실에 구현하는 과정에서 ... ...
- [그래프 뉴스] 전파력 강한 오미크론도 마스크 쓰면 감염 확률 ‘뚝’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최근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고베대학교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사용해 침방울로 인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을 모의실험한 결과를 공개했어요. 역학 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1.5배로 계산해서 ... ...
- [특집] 과학자가 말한다!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놓치곤 해요. 반면 시민과학자들은 아주 탁월하게 해냅니다. 기계학습과 같은 컴퓨터 분석보다 시민과학자들의 분석이 훨씬 정확한 경우를 자주 목격하곤 하지요. 현대 천체 물리학 연구에서 시민과학자들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지구로부터 20pc(파섹)● 이내에 있는 갈색왜성의 10%는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