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계를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에너지 평균값이다. 켈빈 경은 원자의 평균 에너지가 0인 지점의 온도를 0 K로 정했다.켈빈 단위의 온도는 열역학 방정식에도 그대로 적용가능하다.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한다는 이상기체 방정식(PV =nRT =NkT )을 예로들면, 부피가 2배가 되면 켈빈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1년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부산 해운대와 광안리, 송정해수욕장의 24개 지점에서 채취한 모래에서 세균수가 모래 1g당 1000만 마리 가까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수 기준(1mL당 100마리 이하)의 10만 배에 이르는 수치다. 뜨거운 햇볕과 염분 때문에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살기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취약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지진에대비하기 위해 육교를 보강할 때 3분의 1 지점을 집중적으로 보강하는 게 효과적일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험과 원자핵공학의 연결고리 - 17학번 손성현경남 진주에 위치한 경남과학고를 졸업하고 수시 일반전형으로 원자핵공학과에 입학한 손성현 ...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기울여 눌렀을 때, 늘 연필심의 깎은 부분의 지름이 연필심 원래 지름의 1/3이 되는 지점에서 부러지고 연필심을 얇고 길게 깎을수록 조그만 힘에도 쉽게 부러진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취향은 존중하지만, 과유불급이니 적당한 각도로 깎아야겠죠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쥐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래서 벽 뒤에 숨어 있다가 상대편에게 총을 겨누거나 다른 지점으로 이동해야 할 경우, 오른쪽으로 나와 왼쪽을 보는 경우가 훨씬 유리하다. 상대가 있는지 살피기 위한 얼굴과, 총을 든 손만 벽 밖으로 나오면 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왼쪽으로 나와 오른쪽을 살피는 ... ...
- [별난이름정리]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➌번 직선 사이에 어느 순간에는 빨간 직선처럼 절반으로 나뉘는 지점이 있겠네요. 그 지점을 찾아 칼질하면 한 번에 두 팬케이크를 정확하게 절반으로 나눠먹을 수 있답니다. 아하! 2차원 평면에서, 마치 평면처럼 납작한 2개의 물체는 1차원 직선으로 정확히 반씩 나뉘네요. 도전! 햄 샌드위치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엔진이 구슬의 질량과 중력, 표면의 마찰력 등을 고려해 계산한 뒤 쇠구슬을 일정 지점까지 굴러가게 한다.개발자가 ‘C언어’나 ‘파이선(Python)’ 등 컴퓨터 언어를 직접 소스코드로 입력해서 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현상을 일일이 소스코드로 만드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물리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확인하면서 검증했다”며 “이 방식이 직관적인 판단보다는 훨씬 정확하지만, 유저가 이 지점에서 왜 점프했는지, 특정 던전에서 왜 이탈률이 높은지 등 유저의 세세한 행동에 대한 원인은 분석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가령 ‘메이플스토리’의 경우 특정 퀘스트에서 한 직업의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체에 골고루 분포시켜야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자원이 한곳에만 몰려 있으면 그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유저들은 자원을 찾기 위해 섬 전체를 돌아다녀야 해 번거롭다. 특정 자원이 적은 섬에서는 자원이 빨리 고갈 될 수도 있다.강 기획자는 “듀랑고에는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각각 지하 11km, 10km 지점이라고 밝혔다. 또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는 지하 5km 지점을 진원으로 지목했다. 여 교수는 “기관마다 발표하는 진원의 깊이가 다른 이유는 지각이 지진파를 전파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모델을 다르게 썼기 때문”이라며 “연구단에서는 지진파 자료와 물리탐사,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