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명"(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용할 필요가 없고, 민간 기업에서 개발한 인증 방식만으로도 온라인에서 본인을 증명하고, 중요한 거래를 할 수 있게 되는 거랍니다. 인증 시장의 춘추전국시대 열리다! 최근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인증 방식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어요. PIN(비밀번호) 인증과 패턴 인증, ARS 인증,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상자인 앨런 베이커, 타원 곡선 연구로 유명한 존 코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앤드루 와일즈 교수, 2014년 필즈상을 받은 만줄 바르가바 교수로 이어지는 가족 역시 ‘정수론의 황금 족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보기만 해도 눈이 부신 대가의 계보도 있지만, 사실 모든 사람이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점액이 일부 수컷의 정자의 생존 확률을 높이거나 낮춰 수정 과정에 개입한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doi: 10.1098/rspb.2020.1682난자가 수정 과정에서 특정 정자를 선택한다는 연구는 6월에도 발표됐다. 존 피츠페트릭 스웨덴 스톡홀름대 교수팀은 정자가 난포액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현미경으로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데이비드 매서가 처음 제시했는데, 증명할 경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무서운 수학도상 §수학 논문을 발표한 살인범 2020년 수학계에 발표된 논문 중에는 섬뜩하면서도 흥미로운 사연을 가진 것도 있습니다. 바로 감옥에 수감 중인 살인범이 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뜻의 ‘블랙홀’이라고 불려요.1915년 아인슈타인이 블랙홀의 존재를 처음 이론적으로 증명한 이후 1960년대까지 물리학자들은 블랙홀을 두고 ‘완전히 붕괴된 중력 물체’ 등 어려운 말로 불렀어요. 그러다 미국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가 1967년 열린 학회에서 우연히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듣고는 ...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다른 투표방식을 제시할 때 어떤 투표 방식도 모두가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해 발표했어요. 일명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라고 불리는 이 정리는 모두가 만족할만한 ‘완전한’ 선거제도는 없다는 걸 의미해요. 애로는 1972년 이 업적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죠. 최선의 ... ...
- [기획] 사건2. 유력 증거 확인 기회 놓친 유학생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얻는다고 확률이 그대로일 거라는 헬만 판사의 추측은 수학적으로 틀렸다는 사실이 증명됐어요. 만약 신기술로 실험을 여러 번 했다면 재판 결과는 달라졌을지도 몰라요 ... ...
- 질문으로 보는 2020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20년 11호
-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를 찾은 과학자들에게, 노벨물리학상은 블랙홀에 대한 수학적 증명과 관측적 증거를 찾은 과학자들에게, 노벨화학상은 박테리아로부터 암과 유전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교정 도구를 찾아낸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과학동아는 올해 특별히 노벨과학상을 수상한 위대한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그대로 나타났다.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 간염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임을 증명한 실험이었다. C형 간염 극복 경험에서 코로나19 해법 얻을까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유전체 염기서열을 밝힌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의 연구는 관련 진단법을 개발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 ...
-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이것이 우리가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기하학의 근본을 이루고 있죠. 이처럼 공리는 증명할 필요 없이 받아들이는 명제로, 어떤 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그 구조의 특별한 성질을 공리로 정하기도 합니다. 종이접기에도 이런 공리가 있습니다.1991년 일본의 수학자인 후지타 후미아키는 종이접기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