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We weren’t doing this to make money, We were interested in developing a compound that would be a benefit to society.”“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이 일을 하는 게 아닙니다. 사회에 이로움을 줄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함입니다.”_최초의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한 윌리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013년 12월 26일 아프리카 기니의 멜리안두 마을, 두 살배기 남자아이가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했다. 기니에서 시작된 에볼라는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까지 퍼지며 수많은 사망자를 낳았다. 에볼라바이러스가 유행한 건 이때가 처음은 아니었다. 에볼라바이러스 증상은 1976년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는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진다. 바이러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유전체를 복제해 증식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유전체를 복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국의 생화학자 프랜시스 크릭이 유전정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1958년 제안한 중심원리(central dogma)를 이해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80년 5월 8일 세계보건기구(WHO) 는 천연두의 완전 퇴치를 선언했다. 천연두는 기원전 약 3세기 미라에서도 발견됐으며, 20세기에만 3억 명의 목숨을 앗아간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 그러나 1977년 소말리아의 마지막 환자 이후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천연두바이러스는 현재 연구 목적으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많은 사람이 기억하는 최초의 백신 개발자는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다. 제너는 소 젖을 짜던 사람들이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은 훨씬 약한 우두에 쉽게 걸리고 이후에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1798년 우두바이러스를 접종해 천연두에 대한 면역력을 얻게 하는 우 ...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현재 전 세계 수족관에 갇힌 고래는 약 3000마리! 다행히 요즘은 우리의 상황이 많이 알려져서 수족관의 고래를 도와주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늘고 있어. 그렇다면 고래를 보고 싶을 땐 어디로 가야 할까? 우리의 고향, 바다로 와!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수족관에서 고래를 사육하는 것이 금지되 ...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렇게 많은 과학자가, 이렇게 단기간에, 이렇게 많은 연구결과를 동시에 쏟아낸 적이 있었을까. 2020년 1월 30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파 위험을 경고하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할 당시만 하더라도 코로나19가 이 정도로 잡기 어려운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016년 1월 브라질에서 신생아 소두증 의심 사례가 수천 건이 보고됐다. 브라질 보건당국에 따르면 2015년 10월 이후 소두증 신생아가 증가했고, 2015년 말까지 소두증 신생아 출생 의심 사례가 4180건 발생했다. 브라질 내에서 연간 150건 내외로 나타나던 선천적 기형아 출생이 무려 30배 가까이 증가한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류가 바이러스라는 존재를 처음 인식한 건 1892년이었다. 이때도 ‘세균보다 작은 어떤 물질이 있다’ 정도의 추측뿐이었다. 그전까지 인류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수도 없이 고초를 겪었으면서도 그것이 바이러스 때문인지는 까마득히 몰랐다.천연두는 기원전 3세기 사망한 미라에도 흔적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일생의 첫 장면은 숙주를 찾는 얘기로 시작된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다. 번식을 위해서는 반드시 숙주를 찾아 기생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숙주를 찾는 전략은 단순하다. ‘일단 많이 만들어 퍼뜨 리자’는 생존 전략을 초지일관 고수하고 있다. 맨눈으로 확인하지 못할 뿐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