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d라이브러리
"
원자
"(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양성자가속기를 모두 이용해서 관찰하면 어디에 무거운
원자
들이 있고 어디에 가벼운
원자
들이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2011년 건설을 시작해 2015년 완공됐다. 시운전을 거쳐 2017년 중순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투입됐다.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같습니다. 이밖에 한 은퇴 연구자가 고등학생들을 위해 본인의 집 지하실에 만든 소형
원자
로 실험실에서 학생들이 연구하고 실험하는 걸 도와주는 봉사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Q. 바쁘게 지내시네요. 타지 생활이 힘들지는 않은가요. 말도 안 통하고 불편한 것도 많죠. 2003년 KAIST 학부생 시절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질량 실현은 지금보다 훨씬 간편해 진다. 이 책임연구원은 “원기는 단위가 1 kg이어서
원자
질량이나 1 mg 이하의 질량을 정확하게 재기 어려웠다”며 “새로운 측정 기술이 반도체, 나노기술 등이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알려드립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2014년 ‘이징 모형’ 위에 그린 경계 곡선이 SLE(3)이 된다는 것도 증명했습니다. 금속
원자
는 초소형 자석처럼 자성을 갖는데, 이 성질을 수학적으로 모형화한 것이 이징 모형입니다. 모형이 간단한데다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어 고체 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하지요. 이런 뛰어난 성과에도 불구하고 ... ...
[과학뉴스] 달걀껍질, 병아리 나오기 직전 약해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약해진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3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원자
힘현미경과 X선 촬영 등으로 15일간 달걀껍질의 변화를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달걀껍질을 이루는 탄산칼슘과 유기물을 결결합하는 오스테오포틴(OPN) 단백질을 발견했다. OPN ... ...
[과학뉴스] ‘액체 금속’ 생성 과정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금속이 고체로 굳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액체 상태의 금속이 굳으면서
원자
가 고정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동일한 액체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최대 10배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보일즈 교수는 “액체가 고체로 변할 때 모든 부분에서 균일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기존의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진동자’라는 특수장치로 실험을 통해 해석해야 합니다(과학동아 2011년 1월호 ‘초고체
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참조). 현실에서 이런 스톤을 찾아낸다면 ‘우주를 관장하는 힘’까지는 아니어도 노벨상은 따 놓은 당상입니다. [Point 2] 인피니티 건틀렛, 현실에서 만든다면 ‘인피니티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알 수 있듯이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해 만들었다. 양자점은 크기가 수 nm 수준으로 작은
원자
들이 뭉쳐져 있어 지름이 수십 nm에 지나지 않는 미세한 반도체 결정이다. 물질은 크기에 따라 에너지 밴드갭이 달라지면서 전기적, 광학적 성질이 크게 달라진다. 이런 성질은 나노 단위에서도 그대로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
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원자
들 사이의 거리가 1nm로 아주 가까워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그만큼
원자
의 집적도를 높여 메모리를 작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최태영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상영된 전 세계 모든 영화를 USB 메모리 한 개 크기의 칩에 담고도 남을 만큼 집적도가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비공유결합은 물론 공유결합도 이루고 있었습니다. 공유결합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들이 전자를 공유하는 결합 방식으로, 비공유결합에 비해 결합력이 훨씬 강합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공유결합과 비공유결합이 시너지를 내면서 강한 기계적인 강도를 갖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교수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