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통
회전
반복
싸이클
자전거
주파수
사이클
d라이브러리
"
순환
"(으)로 총 1,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
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수 없는 복잡한 구조의 입체도형도 3분이면 뚝딱 만들 수 있어요. 기존의 정다면체
순환
키트들은 일회용이 대부분이었는데, 이 키트는 얼마든지 재활용이 가능해요. 다양한 길이 막대를 이용한 창작물도 만들 수 있고요. 제가 몇 달을 고생해 일일이 각도를 재고, 길이를 맞춰 나무를 직접 재단해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뻗어나간 ‘가지’를 지니는 똑같은 형태를 갖고 있었다. 또 서울 지하철 2호선처럼
순환
선을 지녔다는 점도 공통이었다.중심에서는 2개 노선이 지나는 역의 수가 20% 이상이었다. 환승역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하나의 역이 평균 2.5개의 노선과 만났다. 모스크바만 환승역의 비율이 50%로 예외였다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다만 지구 초기인 수십억 년 전 여러 물질들이 바닷물에 녹아들고 또 수십억 년 동안
순환
해 섞이면서 이뤄진 결과라는 사실만 알 수 있을 뿐이다. [44억 년 전 만들어진 지르콘 광물이 물이 있는 곳에서 생성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지구 생성 당시부터 물이 존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NASA는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아래로 가라앉고 남극 심층 해류로 발달해 흐르는 것이다.심층에서 흐르던 차가운 남극
순환
해류는 태평양이나 대서양 쪽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대륙, 특히 동태평양 부근에 있는 남미 대륙과 마주치면 심해에서 표층으로 치고 올라올 수 있다. 거대한 심층 해류의 물줄기가 대륙이라는 장애물을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죽어가는 별이 내는 마지막 비명일까. 태양처럼 중간 정도의 크기와 밝기를 지닌 별은 사라지기 직전, ‘강한 항성풍’이라고 하는 강력 ... 있는 먼지는 우주 먼지가 돼 새 별을 탄생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별이 탄생하고 죽는
순환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러다 보니 학업에도 소홀해졌고 부모님과도 갈등이 생겨 더욱 게임에 매달리는 악
순환
이 계속됐다. “너 자신이 답답해서 그래. 답답한데 길을 모르면 순간적으로 그냥 즐거운 것만 찾는 거야. 그 순간은 잊을 수 있으니까. 근데 잠자리 들기 전에 순간순간 뭔가 ‘내 꿈은 이게 아닌데, 이러고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공간은 터널 굴착 작업자들의 복합 휴게소 개념으로 디자인한다. 작업장 내부의 공기
순환
장치와 산소통 등도 필요하다.바닷물 속 달리는 해중터널로 해구와 지진 피한다이제 기본적으로 태평양 터널을 뚫기 위한 이론적·기술적 준비가 끝났다. 무리 없어 보이지만 변수는 있다. 첫 번째 변수는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최고의 연구 효율을 낼 수 없다. 기업이 함께 해서 연구 성과를 부로 재창출하는
순환
과정이 있어야 한다. 호세 로보 애리조나주립대 교수는 샌디아국립연구소가 자리해 연구 인력 면에서는 최고 수준이지만 경제 유발 효과가 미미한 뉴멕시코와, 기업 활동이 함께 활발한 보스턴을 비교하며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우주 쓰레기가 다른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때마다 수많은 작은 쓰레기가 더 생기는 악
순환
을 의미하는 ‘케슬러 증후군’도 국제사회의 빠른 대응을 부추기는 이유 중 하나다.이와 관련 스위스 우주센터는 세계 최초의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클린스페이스원’을 5년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을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강아지 머리를 양치기 개의 뼈에 고정했다. 기관과 식도를 열어놔 강아지가 양치기 개의
순환
계를 통해 혈액을 공급받을 수 있게 했다.세시간 뒤 양치기 개가 눈을 깜빡였고, 다시 네 시간이 지나자 목을 움직였다. 하루 뒤에는 이식된 강아지 머리도 기운을 차렸다. 조수의 손가락도 세게 깨물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