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통해 전염된 사례나 증거가 없다”고 못 박았다. 오히려 사스코로나
바이러스
-2가 호흡기
바이러스
인 만큼 비누와 물로 손을 자주 씻고, 기침하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 ...
바이러스
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2015년에는 구스타보 캐타노 아놀레스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작물학과 교수팀이
바이러스
3460종과 생물 1620종의 단백질이 접혀 있는 패턴을 분석해
바이러스
가 원시 생명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각 생물 종의 단백질은 접혀 있는 구조가 조금씩 다른데, 연구팀은 잘 변하는 염기서열 ... ...
바이러스
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혹시나 화성에서 한 움큼 가져온 토양에서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
가 발견되기라도 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생명의 기원 이론이 통째로 바뀔지도 모른다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돌연변이가 많은
바이러스
를 꼽자면 단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다. 이유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의 유전체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하나의 긴 유전체를 가진 보통의
바이러스
와 달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는 유전체가 8개로 분절돼 있다. 이는 다양한 아형
바이러스
를 만들어낼 수 있는 조건이 된다 . ...
대식세포...
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러시아 출신의 동물학자로 정부의 압력을 피해 이탈리아 시칠리아 북동부로 피신한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1882년 배아 상태의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넣고 그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이때 한 무더기의 세포가 찔린 부위로 이동해 손상된 조직을 먹어 치우는 것과 같은 ... ...
T림프구...
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녹여 구멍을 낸다. 그런 다음 그랜자임(granzyme)을 세포막 내로 침투시켜 세포질을 해체해
바이러스
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 같은 비정상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림프구가 활성화되도록 돕는다. 특히 항체를 만들 수 있도록 ... ...
Chapter 05. 노벨상┃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체 알아낸 수상자들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 면역세포 탐구한 수상자들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199 ... ...
1954년
바이러스
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
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연구 결과는 우리 셋만의 노력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키고 싶다”며 “우리가 연구할 때 마음과 힘을 합친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예르네의 이론은 이후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1957년 호주의
바이러스
학자 프랭크 버넷이 제안한 클론 선택설의 토대가 됐다. 클론 선택설은 체내에 침입한 항원과 맞는 항체를 만드는 면역세포는 여러 개의 클론으로 분열하고, 해당 항체를 생성하지 않는 면역세포들은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대해 스스로 실험 대상이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킨 상황에 대해 호프만은 2020년 3월 20일 프랑스 주간지 ‘파리 매치(Paris match)’와 인터뷰에서 인체 면역강화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