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주굴기’를 과시했다. 대기록 가능성이 높다.올해는 2010년대의 마지막 해다. 2010년대 물리학계는 터닝 포인트라 불릴 만한 성과가 유독 많았다.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신의 입자’ 힉스가 48년 만에 처음으로 발견됐고(2012년), 100년 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도 이를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마츠모토 마사카즈 일본 오카야마대 복합학연구소 교수팀은 2017년 국제학술지 ‘화학물리학저널’에 얼음이 300개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63/1.4994757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얼음의 결정 구조를 모두 만들어냈고, 그 수는 300종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환자를 움직이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루이 베나비 프랑스 그르노블대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와 생명공학벤처 클리나텍 연구팀이 뇌 신호만으로 걷고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외골격로봇(엑소스켈레톤)을 개발하고, 팔과 다리를 못 쓰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이 로봇을 입혀 움직이게 하는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양쪽을 소통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선택 덕분에 올해 노벨 물리학상이 아닌 노벨 화학상을 받게됐다. 필자가 진로 고민으로 슬럼프에 빠져 있을 때 구디너프 교수는 이렇게 조언했다. 지금 상황에서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하나 찾아 최선을 다해보라고. 그게 지금은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모든 것이 물리학과 수학인데요. 그래서 로봇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수학과 물리학을 알아야 합니다. 여하튼 로보트 재권V에게 힘/토크 센서를 부착해서 힘을 느끼게 해주고, 그 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열심히 계산해서 위험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면 안전한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홀로그램의 원리를 알아낸 헝가리 출신의 영국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는 1971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됐다. 1977년 개봉한 영화 ‘스타워즈’의 첫 시리즈 ‘스타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에서는 주인공 레아 공주가 악당 다스베이더에게 잡혀있는 상황을 로봇(R2-D2)을 통해 홀로그램으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모양을 결정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과 수학 모형으로 검증했습니다.극성 장은 수학과 물리학 개념인 벡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벡터는 힘과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이고, 극성 장은 식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특정 부분에 쏠려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극성 장을 벡터처럼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물리 우주론의 원리(Principles of Physical Cosmology·1993년)’ 등도 집필했다. 그는 10월 8일 물리학상 수상자로 결정된 직후 프린스턴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후배 연구자들에게 “자연현상에 대한 매혹과 그에 관한 연구의 즐거움을 토대로 나아가라”며 “남과 비교하지 말고 스스로 평가하라”고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우주 공간 어딘가에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상상했다. 그 결과 태양계에 존재하는 8개의 행성을 찾았고, 약 100년 전에는 안드로메다은하도 발견됐다. 우리은하라는 공간을 벗어나 외부은하까지 우주관이 확장된 것이다. 태양계를 벗어 ...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따르면 올해까지 700명에 이르는 과학상 수상자 가운데 여성 수상자는 생리의학상 12명, 물리학상 3명(마리 퀴리는 두 차례 수상했지만 1명으로 셌다), 화학상 5명으로 지금까지 20명에 불과하다. 최근 20년간 이 중 절반가량인 9명이 배출됐다는 게 그나마 긍정적이다. 사족 하나. NASA의 유튜브 생방송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