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못"(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생각하시는군요. 조만간 외계생명체가 발견되길 기대해봐도 좋겠어요. 외계인을 아직 못 본 이유는?실제로 많은 과학자가 우주는 매우 거대해서 분명 어딘가엔 외계인이 있을 거라고 주장해요. 그런데 대체 왜! 우리는 외계인의 흔적조차 발견한 적이 없을까요? 그 이유를 남태평양의 ...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는 모기를 통해 전염될 수 없다”며 “모기를 통해 전염된 사례나 증거가 없다”고 못 박았다. 오히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호흡기 바이러스인 만큼 비누와 물로 손을 자주 씻고, 기침하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김새를 결정하는 유전자인 톨(toll) 수용체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제 기능을 못 하면 아스펠로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라는 곰팡이에 감염돼 죽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실험을 통해 초파리의 선천 면역반응 시스템이 작동하려면 톨 유전자가 발현돼 만들어진 단백질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결과를 도출했다. 그간 빗물이 지하 깊은 곳의 마그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지 못했다. 연구팀은 흙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물, 공기가 가지는 압력인 ‘공극압’에 집중했다. 그 결과 강수량이 증가하면서 토양의 빈 공간에는 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고, 이는 공극압의 증가로 이어져 지반을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잠 못 자는 이유?학교 공부보다는 학원 숙제!2019년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우리나라 청소년 2246명을 7년 동안(초4부터 고1까지) 추적하며 설문 조사해 수면 시간 변화 궤적을 밝힌 연구 결과가 실렸어. 특히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중요성을 느끼고 연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게임이 아니었으면 알파고가 나오지 못했을지도 몰라요!이보다 좀 더 ‘수학자’스러운 게임을 즐긴 수학자도 있습니다. 2020년 4월 아주 안타깝게 코로나19로 세상을 떠난 존 콘웨이는 어렸을 때부터 원주율을 외우는 게 취미였어요. 한창 몰두했을 때는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번 문제를 풀어주실 수 있나요?”폴리매스 홈페이지의 오일러 프로젝트 게시판에 예상치 못한 댓글이 달렸습니다. 여태껏 파이썬이나 C언어로 문제를 해결한 댓글은 많았지만, ‘이 문제를 풀어주세요!’라는 댓글은 처음이었거든요. 6개월 동안 코딩을 다뤘으니 뭐든 풀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 ...
-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지새웠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그날 제가 아무래도 외계인을 본 것 같습니다. 잠을 못 자 맑은 정신은 아니었지만 분명 베란다 너머로 외계인을 본 것 같단 말이죠. 헛것을 본 거라고요? 그래서 이참에 외계인의 존재 여부도 밝히고 직접 찾아보려고 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여름은 날도 덥고, 코로나19 때문에 여행도 못 가서 선풍기 바람 쐬며 시원하게 랜선 여행 중이었는데요, 보기만 해도 시원한 네덜란드 풍차가 제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 편집자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5명(0.11%)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 접종으로 감염률이 줄긴 했지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고 결국 실패로 결론 났다. 동물의 체내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한계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