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d라이브러리
"
가시
"(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만든다고 해도 오직 한 색깔의 빛에만 투명하기 때문이다. 진정한 투명망토는 모든
가시
광선에서 물체를 사라지게 해야 한다. 하나의 색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모든 빛에서 물체를 감출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하지만 이 일이 과연 가능한지는 미지수다. 빛의 굴절에 관해 400년의 역사를 가진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양한 모양의 은하 같은 화려한 천체를 커다란 사진으로 시원하게 감상할 수 있다.
가시
광선을 비롯해 눈에 보이지 않는 온갖 전자기파로 찍은 최신 사진은 별과 우주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프랑스 천체물리학자인 저자들은 독자가 보고 있는 게 무엇인지 쉽고 자세하게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는 광선검 말이다. 엄밀히 얘기하면 레이저 광선검이 실현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가시
광 레이저빔이라도 레이저 광선은 빛을 산란시키는 물질이 없으면 눈에 보이지 않고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정해진 길이만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또 파동인 레이저 광선검끼리 서로 교차할 수 없다. 하지만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은하의 내부 특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됐다.2002년 장착된 고해상도관측카메라(ACS)는
가시
광선과 자외선 영역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 ‘울트라 딥 필드’를 촬영하고 암흑물질의 존재를 찾아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네 번째 수리임무를 마지막으로 퇴역이 예상됐지만, 계속 유지하자는 여론 덕분에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유는 잎사귀대벌레처럼 잎을 먹이로 삼기 때문이다. 주머니쥐 같은 천적이 나타나면 큰
가시
대벌레는 앞다리와 배를 위로 치켜들어 위협적인 자세를 취한다. 다리와 온몸에는 무수히 많은
가시
(곁가지)가 돋아나 있어 겉모습만으로도 몸을 숨기거나 지킬 수 있다. 튼튼한 뒷다리로 노새처럼 강한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나오는 광학 스펙트럼을 이용하면 분자 특성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자외선과
가시
광선, 근적외선 대역의 광학 스펙트럼 영역은 매질에서 전자가 전이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와 일치하기 때문이다.현재 연구단은 형광염료의 수명을 연구하고 있다. 형광염료는 세포의 활동을 알려주는 일종의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축들이 쉽게 빠져 나가는 고질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어느 날 글리든은 가축들이
가시
가 있는 장미넝쿨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철사를 새끼처럼 꼬아 군데군데에 철사 도막을 넣어보기로 했다. 지금도 군대와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는 철조망은 이렇게 탄생했다.글리든의 ... ...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컷이 목숨 바쳐 알을 지킨다는 이야기는 아름다운 소설로도 탄생했다. 연한 갈색인 큰
가시
고기 수컷은 산란기가 되면 푸른색으로 변하며 배 부분이 붉어진다(혼인색). 3~4월이 되면 연안에 살던 수컷은 신붓감을 찾아 하천으로 올라와 먼저 집을 장만한다. 물풀이나 지푸라기로 동굴 모양의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번째 사건의 단서를 제가 풀수 있게 해 주세요. 해명할 기회를 달라고요.”“좋소. 같이
가시
지요.”네로 울프와 허풍과 도형은 두 번째 살인 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향한다.“헉! 사람이 어찌 사람을 이렇게 잔인하게 살해한단 말인가.”“이번에도 역시 퍼즐이 담긴 쪽지를 남겼군! 우리와 게임을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우포늪에서 발견한
가시
연꽃이에요.
가시
연꽃은 예쁜 보라색 꽃을 피우지만 몸 전체에
가시
가 있어서 만지기 어려워요. 예쁘다고 만지려 하다가는 큰코다칠지도 몰라요! 한 때 우리 나라 많은 지역에 퍼져 살았지만 지금은 수질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답니다. ❷ 깨어나는 붕어섬 (박남기,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