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연구자들 자신만의 강점을 확보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단순히 나노 입자를 다루는 것이라기보다 물질의 구조나 조성까지 나노 스케일에서
조절
하는 것이라고 좀 더 폭넓게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나노 스케일 연구가 곧 나노 과학" 사실 강 교수는 '다결정체 계면현상' 전문가로, 이 분야에서 권위있는 상인 미국 세라믹학회의 '쏘스먼 ... ...
‘3+1’만 알면 8월 전기료 폭탄 피해갈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09
눈은, TV 밝기가 어두워지면 동공의 크기가 자동으로 커지며 TV의 밝기를 자체적으로
조절
하기 때문이다. 만약 TV가 설치된 장소의 조명이 매우 밝아서 TV가 어둡게 보이는 경우라면, 절전 모드를 중간 단계로만 설정해도 그만큼의 전기 절약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둘, 냉장고 설정 온도를 높여라 ... ...
모유 안나오는 산모는 인슐린 분비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생산량의 관계를 규명한 것뿐"이라며 "혈당을 줄이는 약에 의존하기보다 꾸준한 식이
조절
과 운동으로 인슐린의 정상적인 분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인삼의 효능, 세계독성학회 서울회의서도 확인
동아일보
l
2013.07.08
무의미한 것으로 결론 났다고 했다. 블러멘털 씨는 또 인삼이 운동 수행능력, 면역
조절
기능뿐만 아니라 특히 나이든 남성의 발기부전에도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조영걸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미생물학)는 같은 날 치료제 없이 홍삼 섭취만으로도 장기간 ... ...
오렌지나 레몬으로 암 치료할 수 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사실을 발견해 '네이처' 6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특정 물질들을 줄기세포에 주입하면서 배양했다. 그 결과 비타민C가 줄기세포에 주입된 후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했다. 세포 안의 유전물질에 메틸기가 붙으면 ... ...
한약으로 암 치료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인체의 모든 기관이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인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의학적 생명현상
조절
법을 소개한다. 이에 앞서 변일수 서울 홍릉초 교사는 ‘한의학을 통한 간단한 건강약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5일 오후 6시 3 ... ...
TV만 보고도 살이 빠진다고? 진짜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이들 모두 체중이 평균 1.6kg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나폴리타노 박사에 의하면 이는 식이
조절
과 운동을 통해 다이어트를 할 때 감량되는 수치와 비슷하다. 나폴리타노 박사는 "아바타가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사람에게 일종의 '모델'이 되는 만큼 아바타 영상을 보며 바른 생활 습관까지 배울 ... ...
A++등급 맛좋은 한우 이렇게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발달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연구사는 "이 유전자들을
조절
하면 원하는 지방만을 선택적으로 축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한우를 선발하는 분자 육종 기술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 ...
세균 먹는 바이러스 東海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해양 바이러스는 해양 세균을 감염시켜 죽게 만들기 때문에 해양 생물의 개체수를
조절
하고 바닷속 탄소, 질소, 황 등 물질의 순환에 영향을 준다”며 “이는 전지구적 물질순환과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4일자 ... ...
알코올중독 기억을 지우면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도릿 론 박사팀은 쥐의 뇌에서 특정 단백질을
조절
해 술에 관한 기억을 지움으로써 알코올 중독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2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쥐가 알코올 중독 상태가 되도록 7주 동안 술을 마시도록 했다.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