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과 바다가 빚은 보물섬, 제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지름은 600m 정도입니다. 성산일출봉에는 99개의 암석 봉우리가 있어요. 이 암석봉우리가
100
개였다면 제주도에도 호랑이가 태어났을 텐데 1개가 부족해 제주도에 호랑이가 없다는 전설이 있답니다.화산재가 층층이 쌓인 성산일출봉은 물에서 터진 화산이랍니다. 해저 지각에서 솟아오른 용암은 ... ...
1시간 30분의 짜릿한 우주 관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시작한대요.우와! 우주 어디까지 가나요? 화성도 갈 수 있어요?아직 아니에요. 저는 고도
100
㎞까지 올라가요. 이 곳에서 관광객들은 3분 정도 무중력 체험을 할 수 있어요. 또 15개의 창문을 통해서 파랗게 빛나는 지구를 볼 수 있답니다. 관광객은 모두 4명이에요.그럼 얼마나 오래 우주 관광을 하는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수면 위의 파도에 비해 파장이 무척 길어서 보통 수십㎞에 이르는데, 심해에서는
100
㎞인 것도 만들어질 수 있다. 해양학자들은 이 거대한 내부파 때문에 잠수함이 갑자기 침몰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파도는 oo지자, 첫 번째 문제의 답을 알겠나? 잘 생각해 보고 답은 맨 나중에 한꺼번에 말해야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230GHz 겸용 수신기로 업그레이드하는 중이다.“이번에는 수신기에 들어가는 각종 장비와
100
개가 넘는 정밀부품을 설계한 뒤 가공은 일괄적으로 선배 회사에 맡겼죠. 그 덕분에 일일이 돌아다니는 수고는 덜었답니다(웃음). 반도체 제작용 정밀 장비를 썼다고 하더라고요.”정원 씨는 그동안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감각수용체가 있는데 몸 전체의 25%가 손에 몰려있다. 특히 손가락에는 1cm2 마다
100
개 정도가 몰려있어 작은 자극도 쉽게 느낀다. 손등은 같은 면적에 9개밖에 없다.손가락을 예민하게 만드는 또 다른 요소는 뇌다. 연세대 의대 신경과 김승민 교수는 “아무리 많은 감각정보를 인지해도 뇌에서 이를 ... ...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동되는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대형 배관이 완전히 파괴되는 일은
100
만년에 한번 일어날 정도고, 작은 규모의 냉각재상실사고도 1만년에 한번 일어날까말까 합니다. 모의실험에서처럼 이런 상황에 발전소 전체가 정전되는 일이 겹칠 확률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할 수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정확한 거리(약 300만 광년)가 처음으로 측정됐다. 청각 장애를 극복한 두 천문학자의
100
년을 뛰어넘는 업적으로 우주가 그동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이달의 천문현상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오는 화성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붉은색 ‘전구’ 하나가 밤하늘을 밝힐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해야 직성이 풀리는 ‘깔끔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진공청소기를 돌리며 ‘순도
100
%’의 청결함을 고집했는데, 한터프에게 청소기 소리는 고문이다.소음이 적은 청소기를 사준다 해도 오수정은 “먼지를 쫙쫙 빨아들이는 소리가 들려야 청소한 기분이 든다”며 막무가내다. 그렇다면 한터프와 ... ...
홈즈 혜성, 태양보다 더 커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가스와 밝은 얼음 알갱이를 대규모로 방출하며 밝기가 하루 만에 17등급에서 2등급으로
100
만배 이상 밝아졌다. 혜성은 이때부터 지름이 1초에 0.5km씩 커지기 시작해 보름 만에 지름이 140만km를 훌쩍 넘어 태양(지름 139만km)보다 커졌다. 7년마다 태양을 공전하는 홈즈 혜성의 ‘돌출행동’은 이번이 ... ...
초음파로 지문 감식하는 휴대용 기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범죄수사대는 범인이 남긴 지문의 흔적을 찾아 범행현장 곳곳에 지문감식용 분말을 뿌린다. 분말이 묻은 지문 형상을 특수 테이프에 묻혀 떼어낸다. 여기에 ... 두베이 교수는 “분말과 화학물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지문의 소유자를 찾기까지
100
만분의 1초 정도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