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를린 먼로의 빛바랜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쿠란의 방법은 원래의 해상도를 유지한다는 장점을 갖는다.어찌됐건 대다수 영화복원
전문
가들은“결국에는 모든 것이 디지털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바로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이다. 전통에 대한 혁명적 도전미국의 과학
전문
지 ‘사이언스’는 1998년 연말 특집호에서 그해 과학계의 10대 연구성과 중 하나로 ‘조합화학 합성기술’을 선정했다. 조합화학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동시에 많은 화합물이 섞일 수 있도록 조합(combination) ... ...
이공계 위기 그 진실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국내를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기사가 지난 3월 15일 세계적인 과학
전문
지 '사인언스'에 실렸다.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증거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이공계를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그 실체를 낱낱이 파헤쳐보자. ...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최근 언론과 인터넷 게시판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이공계 기피 문제’가 미국의 과학
전문
지 ‘사이언스’ 의 3월 15일자에 소개됐다. 사이언스는 2002학년도 서울대 공대 박사 과정 미달 사태를 비롯해 국내에서 벌어지는 이공계 기피 경향을 소개하면서 한국에서 과학이 경제 성장의 추진력으로 ... ...
생선회 가장 맛있게 즐기는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생선회 용도로 쓸 생선은 잡은 후 즉시 회로 떠야 가장 신선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전문
가에 따르면 사후경직 상태의 물고기는 꼬리가 옆으로 약간 올라간다.하지만 모든 생선이 잡은 직후 바로 먹어야 맛있는 것은 아니다. 다랑어나 방어 등은 사후경직 시기를 지나 죽은 생선의 조직 구성물질이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가 후원하는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의 수상작이 결정됐다. 11일 세종대 영실관에서
전문
가 5인이 공정하게 심사한 결과, 영예의 대상은 서울 송파구의 김창기(44)씨가 출품한 ‘북아메리카성운’에 돌아갔다. 북아메리카대륙을 연상시키는 이 성운은 붉은 빛이 인상적이다.대상 작품은 비슷한 천체를 ... ...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연구진흥사업의 하나다. 지난 9월 3년 간 이뤄낸 연구성과를 평가받는 자리에서 국내외
전문
가로 이뤄진 평가단으로부터 물리분야의 가장 우수한 연구단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또한 연구단은 외국평가자 들로부터 연구업적이‘월드 클래스’라는 평가를 받았다. 응당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2단계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유능한 학생이 많이 몰린다고 한다. 김단장은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수자원 관련
전문
가의 전망은 아주 밝다며, 많은 학생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갖길 기대했다 ... ...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0℃ 정도에서 약 10초간 재빨리 튀겨낸다.하지만 온도계를 집어넣어 측정할 순 없는 일.
전문
가의 온도 측정 비법을 들어보자. 튀김옷을 떨어뜨렸을 때 바닥에 가라앉았다가 천천히 떠오르면 약 1백50-1백60℃, 중간까지 가라앉았다가 곧 떠오르면 1백70-1백90℃, 가라앉지 않고 바로 표면에 흩어질 경우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일으키고 있다. 채식 열풍에 뒤따른 육식 채식 논쟁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대한 관련
전문
가들의 의견을 들어보자.채식연학대표에게 듣는다■ 채식이 인간에게 적격인 이유-날고기 먹기엔 인체구조 부적합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자. 치아의 경우 육식동물은 뾰족하고 강한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