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여성우주인의 ‘역사속 전설’이라면 윗슨은 ‘살아있는 전설’이다. 생화학
박사
인 윗슨은 2002년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에 첫발을 내디딘 뒤 지금까지 5번 우주비행을 하며 많은 기록을 세웠다. ISS 최초 여성 선장을 비롯해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여성우주인 기록(376일)과 가장 오래 우주유영을 ... ...
2. 세계는 지금 합성석유 삼매경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50억 톤가량의 석탄이 매장돼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약 200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이죠.”정
박사
는 앞으로 벌어질 수도 있는 석유대란을 대비해 우리나라가 유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석유를 확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석탄석유화라고 강조했다. 2차 세계대전의 독일이나 과거 남아공의 사례가 이를 ... ...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하버드대 수학 교수인 저자는 193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MIT를 거쳐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25세에 하버드대 교수가 됐다. 위상수학과 수론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겨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미 국립과학원(NAS) 회원이기도하다. “허수를 상상하고 싶다”는 친구의 말에 영감을 얻어 이책을 ... ...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 방향 찾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90%는 지중해가 있는 남쪽으로 바람이 불 때를 골라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채프먼
박사
는 “이번 관찰 결과는 곤충이 자신이 날아가야 할 방향을 이미 알고 있다는 뜻”이라며 “곤충에게 선천적으로 나침반과 같은 방향감각이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 ...
하루 길이를 바꾸는 광물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엄청난 전기전도성 때문에 지구의 자전 속도가 달라지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히로세
박사
는 “이 층은 액체상태의 외핵이 만드는 자기장과 함께 엄청난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며 “이 전자기적인 힘은 자전 속도에 영향을 줘 1000분의 1초 범위에서 하루의 길이를 변화시킬 만큼 ...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돌리다가 발끝을 축으로 몸을 충분히 회전시켜 최대의 힘을 원반에 실어 던진다. 이
박사
는 “조각상의 주인공은 어떤 단계의 동작이라고 말하기 힘들다”며 “어느 동작에서든 허리를 거의 편 상태여야 허리 회전에 따른 힘을 원반에 충분히 실어 멀리 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영국 미술사학자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1970년대 그린 페르세폴리스 실측도를 기본 자료로 삼았다. 오른쪽 사진은 크레프트
박사
의 실측도다.2단계〉 콘티 작성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영상을 만들기 위한 콘티를 작성한다. 이 단계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법이 들어가는데, 쉽게 말해 시나리오를 2차원 그림으로 나타내는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세계 3대 물리학회 가운데 하나로 꼽힐 만큼 권위있는 학회다.어쩌면 염 단장이 일본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기 때문에 일본 물리학회에 원자선 세션이 생긴 일은 비교적 쉬웠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추측을 불식시키듯 올해 2월 독일 물리학회도 원자선 세션을 처음 만들어 과학자들의 연구를 ...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블릭스(BLEEX, Berkeley Lower Extremity EXoskeleton)가 대표적이다.서울대 의대 김상준
박사
는 “HAL을 착용하면 20kg의 물건을 들 수 있던 사람의 체력으로 60kg의 물건도 거뜬히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 로봇제작업체인 사이버다인은 HAL을 착용한 사람이 쌀 두 가마니(80kg)를 거뜬히 들어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높은 방법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체는 연료전지, 수소자동차에 활용될 전망이다. 노
박사
는 “대기압 플라스마는 환경·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우리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관련 기업체에 이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장마철 번개로나 볼 수 있었던 대기압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