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느낄 수 있는 감각 세포가 가로 세로 1mm당 한 개꼴로 분포한다. 촘촘한 분포 덕분에 눈으로 보지 않아도 손으로 섬세하게 곡면의 굴곡을 느낄 수 있다. 촉감이 발달한 사람은 촉감만으로도 여러 가지 과일을 구별할 수 있다. 이런 인간의 손과 유사한 로봇 손을 만드는 일은 매우 어렵다.로봇 손이 ...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엘리베이터가 가까이 있는데도 오지 않는다거나, 앞서 개리처럼 눈 앞에서 휙 지나치는 엘리베이터 때문에 황당할 일도 없다.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모르는 것이 약인 셈이다.이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스마트하게 탈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더 알아보자.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실격됩니다.‘빨리 걷기’와 ‘뛰기(달리기)’를 눈으로 구분하긴 쉽지 않아서 심판들은 눈에 불을 켜고 선수의 다리를 쳐다보는데, 반칙을 찾아내는 기준은 한 가지입니다. 두 다리가 모두 공중에 뜨면 그 자리에서 파울을 줍니다. 공중에 들었던 왼쪽 발을 내려놓기 전에 땅에 있는 오른쪽 발로 ...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해마다 27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물물 부족 지구온난화로 산 위에 저장된 눈이 줄고 인구가 늘면서 전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물 부족을 겪고 있다. 현재 26억 명은 깨끗한 물로 생활하지 못하고 있으며, 9억명은 먹을 물조차 부족한 상태다.물분쟁 물이 부족해지면서 물을 구하려는 국가간, ...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쫓기도 바쁜 세상이지만 실제로는 겉모습만 봐서 알 수없는 것들이 많다.다시 말해 눈앞에 보이는 것만을 중요하게 여기다 보면, 그 안에 숨겨진 본질적인 것을 놓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래서 세상 속에는 겉과 속을 자연스럽게 넘나드는 유연한 학문인‘위상기하학’이 더욱 필요한 것이 아닐까 ...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있다.전시관 입구에 들어서자마자‘지오데식 돔’과‘시어핀스키 피라미드’구조물이 눈에 띈다. 커다란 반원 모양의 지오데식 돔은 미국의 건축가 리처드 벅민스터 풀러가 1940년에 만든 건축양식이다. 삼각형으로 이뤄진 정이십면체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지오데식 돔은 적은 재료를 가지고도 큰 ...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실험의 오차는 10ns 미만이었고, 이를 거리로 환산하면 732km에서 20cm 정도의 오차다. 60ns는 눈 깜짝할 새보다 훨씬 짧은 시간이었지만 세계의 물리학자들이 깜짝 놀라기에는 충분히 긴 시간이었다.오페라 실험은 원래 빛보다 빠른 입자를 측정하려던 것이 아니었다. 당초 목적은 뮤온 중성미자가 타우 ...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심혈을 기울였다. 거푸집을 제거하고 남은 구멍은 아르곤과 레이저로 용접해 매웠다. 맨 눈으로는 용접했다는 걸 모를 정도로 말끔했다. 도 책임연구원은 혹시 모를 결함을 발견하기 위해 초음파검사, 와류탐상검사, 형광검사 등 다른 검사도 추가로 실시했다. 국새에는 어떤 흠도 나타나지 않았다. ...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투명망토’를 쓰고 침투하기 때문이다. 이 투명망토 때문에 결핵균은 면역세포의 눈을 피해 몸속으로 쉽게 들어올 수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감염학과의 래리 슐레진저 교수팀은 결핵균인 마이코박테리움 튜베큘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스메그마티스(Mycobacterium smegmatis)의 세포벽을 ...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대한 흔한 상식 하나. ‘개는 색맹이다?’ 겨울에 눈이 오면 개들이 눈밭을 신나게 뛰어 노는데 그건 희고 검은 색밖에 구분하지 못해서라는데 사실일까. 상식 둘. 거실에 ‘실례’를 한 개는 자기 잘못을 알고 있어서 주인이 들어오면 꼬리를 감추고 피하거나 알아서 벌을 선다? 개가 그렇게 ... ...
이전4354364374384394404414424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