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컴퓨터그래픽으로 순화시킨 것. 인체탐험에는 세포속으로 들어가 DNA의 이중나선구조도
관찰
하는 과정이 포함돼 있다.마지막으로는 인체의 사령부인 뇌속을 들여다보고 시신경을 통해 바깥 세상으로 빠져 나온다. 눈을 빠져 나온 카메라는 엑스포장 상공을 거쳐 한반도를 조명하고 마지막으로는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시상 하에서는 큰 망원경이 당연히 훨씬 어두운 대상을 발견하며 세부모습도 자세히
관찰
할 수 있다.피커링은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20인치가 시각관측에 적당한 최대치라고 결론지었다. 큰 망원경을 사용하여 시험한 대부분의 관측자 역시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에 ... ...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는 A형 적혈구와 B형 적혈구에 검사할 사람의 혈청을 가하여 응집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
하여 혈액형을 검사한다.대부분 혈구형검사 결과와 혈청형검사 결과는 일치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두가지 검사를 모두 실시하여 그 결과가 일치되어야만 혈액형을 판단할 수 있다.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때 광구 바깥쪽에 가까운 군데군데에 붉은 불꽃이 보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홍염을
관찰
해보면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홍염의 모양은 나무같은 형태로 솟은 기둥이 광구 쪽으로 빨려들어가는 형, 폭발하듯이 솟아오르는 분수형 등 여러가지가 있다. 특히 수명이 긴 홍염은 수개월 동안 계속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못했다. 그러나 시교차상핵의 소실 또는 손상시 개일리듬의 일부만이 파괴되는 현상이
관찰
된다는 것은 또다른 생체시계의 존재를 암시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멜라토닌캡슐을 복용하면…이제까지는 개일시계만을 생각하였는데, 계절시계 개년시계(槪年時計)는 없을까. 개일시계와 마찬가지로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동물들이 날아다니는 방법을 오랫동안
관찰
하고 연구했는데, 그 중에서 박쥐의 구조를
관찰
함으로써 동요가 없고 견고한 주익(主翼)을 만들려고 노력했다.우연히 그들은 함부르크의 한 중고등학교 교사인 프리드리흐 알보른(Friedrich Ahlborn)의 논문을 입수하게 됐는데, 그 논문은 '비행기의 안전성'에 ... ...
신비의 입자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흥미있는 입자붕괴를 발견하기 위해서 수백개의 입자가 관계하는 수십억개의 붕괴를
관찰
하지 않으면 안된다.페르미 연구소가 최근에 발견한 두건의 붕괴(CDF검출기에서 하나, D-ZERO에서 하나)는 톱쿼크와 반(反)톱쿼크의 붕괴라고 생각되는 입자의 샤워다. 이 두개의 입자는 바텀쿼크와 W입자로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형태를 갖게 된 것이다.이처럼 무심히 보아 넘기기 쉬운 여러가지 제품의 형태는, 자세히
관찰
해보면 기능과 부합되도록 세심히 디자인된 '과학'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면 제품의 기능과 부합되는 형태는 누구의 손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그것은 과학과 조형의 유기적인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공존하는 달의 모습은 매우 환상적인 모습이다. 개기월식 때 달빛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
해볼 필요가 있다.올해 월식은 6월4일과 11월29일 두차례 일어난다. 둘다 개기일식이나 11월29일 것은 서울지역의 월출시간이 일러(17시16분) 반영식만 잠깐 볼 수 있다. 따라서 6월4일의 월식에 관심을 기울이는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해왕성의 발견 사건과 비교해 보자. 안드로메다 은하의 외곽에 아직 우리의 눈에는
관찰
되고 있지 않지만 많은 양의 물질이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도입된 것이 바로 '암흑물질'인 것이다.1963년, 로마 천문대(Roma Observatory)에 근무하던 핀지(A. Finzi)라는 사람은 이러한 나선은하에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