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414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음성인식 센서 "누구 목소리인지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와
전기
및전자공학부 유창동 교수 연구진은 목소리로 사람을 구별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유연 압전 음성센서’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말로 전자기기를 조작하거나 인터넷 검색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은 사람마다 다른 ... ...
비틀어도 잘 작동하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홍용택 서울대
전기
정보공학부 교수팀과 함께 박막의 다양한
전기
적·기계적 특성과 형태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신축성 전자소자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인체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신축성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각광을 받고 있지만,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나로 풀이된다. 이준구 KAIST 양자컴퓨팅 IRTC 센터장(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은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결국 컴퓨터 성능의 한계에 부딪혀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 차원 더 높은 양자컴퓨터의 도입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서울대
전기
정보공학부 교수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 물리학 분야에서 혁신적 발명으로 평가받는 두 분야에 주어졌다. '광학집게(광 핀셋)'와 이를 생물학 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한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박사(96)와 에너지가 크고 매우 짧은 광 펄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한 제라르 ... ...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10.02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슷한 효율인 20%대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얇고 가벼우며 밤에도
전기
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송진동 광전소재연구단장은 “얇고 잘 휘는 구조여서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nanoen.2 ... ...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무력화할 수 있다. 핵폭탄 등이 폭발했을 때 자기장과
전기
장이 빠르게 변화해
전기
및 전자시스템을 무력화시키는 전자기펄스(EMP) 무기다. 하지만 이 무기는 적국 위성뿐 아니라 자국 위성까지 한꺼번에 무력화시킨다는 한계가 있고, 우주를 평화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유엔의 우주조약에 위배돼 ... ...
[과학게시판] IBS 슈퍼컴퓨터 도입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지능형 제조시스템 연구실'에는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주종남·안성훈·윤병동 교수와
전기
컴퓨터공학부 양인순 교수, 크리스챤 브레셔 독일 아헨공대 생산공학과 교수 등이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 KAIST는 1일 대전 본원 창의학습관에서 ‘2018 제17회 KAIST-포스텍(POSTECH) 학생대제전(이하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1939년에는 190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고흐의
전기
를 다룬 독일 영화 ‘로버트 고흐’가 개봉했다. 실제 과학자의 생애를 집중적으로 그린 첫 영화였다. 이후 폴 에이를리히(1908 생리의학상), 마리 퀴리(1903 물리학상, 1911 화학상) 등 노벨상 수상 과학자들이 제 ... ...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피부에 붙이는 심전도 측정장치를 개발했다. 주위에 빛만 있으면 동작하기 때문에 외부
전기
공급이 필요없어 활용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졸업생 출신인 박성준 삼성종합기술원 선임연구원(Staff Researcher)과 KAIST, 일본 도쿄대와 이화학연구소(RIKEN) 등 한일 공동 ... ...
[2018노벨상]올해 어떤 분야가 상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행동과 제어하는 이론이 보다 명확해졌으며, 자동차의 보완용 배터리로 사용되는 대용량
전기
저장장치인 슈퍼커패시터 등으로 적용돼 산업 영역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2년 연속 예상 수상 분야로 선정된 우주 은하론도 있다. 지난해에는 은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온도 차이를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